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한글뒤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울산군 온산면 상평리 중동의 한글뒤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필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필원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울산군 온산면 상평리 중동은 김해 김씨 한 집안만이 마을을 형성하여 살았다는 것에서 종동이라고 불렸다 한다. 총 가구 40여호에 120여명이 산다. 교통은 새마을 버스가 매 시간마다 다녀 그다지 불편함은 없다. 논농사를 주로 하며, 단감과 배를 재배한다. 정월 보름 해뜨기전 사람의 소통이 없을 때 마을 당산각에서 당산제를 올린다. 당산각은 개수한 지가 그리 오래 되지 않은 듯, 세멘트 구조물에 슬레이트 지붕을 올리고 있다. 2월 초하루에 바람올리기를 하며, 지신밟기는 동의 적립금을 마련하기 위한 방편으로 2년 또는 3년에 한 번 정도 행해진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2월 18일에 경상남도 울산시(울산군) 온산면 상평리 중동에서 채집한 한글뒤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필원이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해방후 13살 가량 때 야학에서 글자를 깨치기 위해 배웠다고 한다. 한글의 순서에 따라 글자 하나 하나에 재미있는 내용을 붙여 외기 좋도록 했다. 보통 언문뒤풀이 또는 한글타령이라고도 한다. |
가사 | 가갸거겨하니 가이 없는 이내 몸이 그이 없이 되었구나
고교구규하니 고생하던 우리 낭군 구간하기 짝이 없네 나냐너녀하니 날라 가던 원앙새야 너와 나와 짝을 짓자 노뇨누뉴하니 노세노세 젊어 노세 늙어지면 못 노나니 다댜더뎌하니 다정하던 우리 낭군 이별하게 무삼 일고 도됴두듀하니 도덕 짚이 묵은 마음 그대 어이 몰라 주나 나랴너려하니 나뒤 등에 솔질하야 조선 십삼도 유람 갈세 노료루류하니 노령장파 이계유는1) 지천천마다 있건마는 마먀머며하니 마자마자 마잤더니 임으 생각 다시 난다 모묘무뮤하니 모지도다 모지도다 한양 낭군 모지도다 바뱌버벼하니 밥을 먹어도 임의 생각 목메인다 보뵤부뷰하니 보고지고 보고지라 한양 낭군 보고지라 사샤서셔하니 사시 행장 바쁜 길에 중간참이 늦어 온다 소쇼수슈하니 소솔단풍 찬 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럭아 임으 소식 전해 주소 아야어여하니 오동동판 거문고를 새 줄 미워 타노라니 백학이 벌써 제 짐작하고 우쭐우쭐 춤을 추네 자쟈저져하니 자주종종 오시던 님 편지조창 아니 오네 차챠처쳐하니 차라리 이내 몸이 죽었시먼 이런 꼴을 아니 보제 초쵸추츄하니 초당 아래 깊이 든 잠 학에 소래 놀라 깨니 그 학 소래 간 곳 없고 흐르나니 물소리라 칼캬컬켜하니 용천검 대동칼2) 가 이내 몸을 비어 주소 콜쿄쿨큐하니 콜콜시도 슬픈 마음 그대 어이 몰라 주나 타탸터텨하니 타도타도 월타도하니3) 누를 바래 여기 왔나 토툐투튜하니 토지토지 신이 감동하사 임 보게 도와 주소 다댜더뎌하니 다정하던 우리 낭군 이별하게 무삼 일고 도됴두듀하니 도덕 짚이 묵은 마음 그대 어이 몰라 주나 칼캬컬켜하니 용천검 대동칼 가 이내 몸을 비어 주소 콜쿄쿨큐하니 콜콜시도 슬픈 마음 그대 어이 몰라 주나 하햐허혀하니 한양 낭군 내 낭군은 가신 뒤로 못 오시네 호요후유하니 호협하게4) 묵은 마음 단산불이5) 무디야서 임오 생각 다시 난다 과거나너하니 여기가 천지나실 길에 방문 불입은6) 왜 하소서 1) 노류장화 인개가절(路柳墻花 人皆可切)의 잘못인 듯. 즉 길 가의 버들과 담밑의 꽃은 누구라도 꺽을 수 있다는 뜻으로 창부를 가리키는 말 2) 대동칼;대동은 푸주에서 쇠고기를 베어 파는 사람. 대동칼은 대동이 쓰는 칼이란 뜻인 듯 3) 월타도(越他道);남의 동네로 들어감 4) 호협(豪俠)하게;호방하고 의협심이 있게 5) 단산불이;단 사흘이의 잘못인 듯 6) 방문 불입;과문불입(過門不入)의 잘못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