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울산군 청량면 상남리 신덕하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덕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덕출 |
지역개관 | 울산군 청량면 상남리 신덕하는 덕하역 근처의 구덕하와 구분하여 신덕하라고 하였다. 마을이 조성된 것은 30여년 전부터라고 한다. 온산 공단 근처이며, 울산시와 접해 있다. 마을 전체가 상업지구로 시장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마을 가운데로 2차선 도로가 나 있고, 마을 외곽으로 온산공단을 관통하는 4차선의 대로가 있다. 대부분 상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별다른 민속이 남아 있는 것은 없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2월 26일에 경상남도 울산시(울산군) 청량면 상남리 신덕하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덕출이 참여하였다. 놀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흔히 부르는 각설이타령이다. 원래는 각설이패가 동냥을 다니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
가사 | 얼씨구 씨구 들온다 절씨구나 나온다
온갖 전전이1) 들어온다 일짜 한 장 들고 봐라 일월이 송송 야밤중에 밤중 새별이 완연한다 이짜 한 장 들고 봐라 진주 기성 이애미2) 우리 조선을 구할라꼬 왜장 천장 목을 안고 진주에 난간 떨어질 때 어는 귀선이 아니 울꼬 사 이자는 낙장되고 삼짜 한 장 들고 봐라 삼우나 신령 도신령 외나무 다리에 만냈나 천년 부부로 만냈나 만년 부부로 만냈나 에 삼자 한 장 낙장되고 사짜 한 장을 들고 봐라 사천행사 바쁜 질게 점슴챔이 늦어 온다 사짜 하나 낙장되고 오짜 한 장을 들고 봐라 오관아 천령3) 관운장 적토말로 집어 타고 제갈선생을 찾아 든다 오짜 한 장 낙장되고 육짜 한 장을 들고 봐라 육육이 연을 타고 팔선녀로 희롱한다 육짜 한 장 낙장되고 칠짜 한 장을 들고 봐라 칠 어 .. 칠년대한에4) 검은 구름 비 한 쌍이 떨어지니 만인간이 희롱한다 이 골에도 농사로 짓고 저 골에도 농사로 지야 그 농사 지어 가주 부모님 봉양을 하신 후에 나라님 봉양도 해여 보자 칠짜 한 자 낙장되고 팔짜 한 장을 들고 봐라 우리 형제는 팔 형제 한 서당에 글로 일러 천자 한 권 몬 일러도 과게하기만 힘을 씬다 팔짜 한 장 낙장되고 구짜 한 장 들고 봐라 구월이 산중 늙은 중놈 바랑 갓이로 씨개 씨고 철도 작지로5) 둘러 짚고 아홉 상제 거너리고 절로 절로 찾아 든다 구오 십짜 .. 구짜 하나 낙장되고 십짜 한 장을 들고 봐라 잠으나 숲에 범이 들어 그 범 한 마리 몬 잡고 총마6) 들고 희롱한다 잡아 오는 넘은 채사직7) 앉인 양반은 호통직8) 시기는 놈으는 관장직9) 때리는 놈으는 군로직10) 얼씨구나 들어온다 품 품바라 좋다 1) 전전이(廛廛--);점포마다 2) 이애미; 의암(義岩). 즉 논개(論介)를 이름 3) 오관아 천령 ; 오관참장(五關斬將). 관운장이 조조에게 억류되었다가 유비에게 돌아오는 길에 다섯 관문을 지키던 여섯 명의 장수를 목 벤 사실을 말함. 4) 칠년대한(七年大旱) 5) 작지로;지팡이를 6) 총마→총(銃)만 7) 채사직;차사직(差使職). 즉 고을 원이 죄인을 잡으려고 보내는 하인 8) 호통직;호통을 치는 사람이라는 뜻 9) 관장직(官長職);고을의 수령 자리 10) 군뢰직(軍牢職), 군대에서 죄인을 다루던 병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