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새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울산군 청량면 상남리 신덕하의 새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덕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덕출 |
지역개관 | 울산군 청량면 상남리 신덕하는 덕하역 근처의 구덕하와 구분하여 신덕하라고 하였다. 마을이 조성된 것은 30여년 전부터라고 한다. 온산 공단 근처이며, 울산시와 접해 있다. 마을 전체가 상업지구로 시장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마을 가운데로 2차선 도로가 나 있고, 마을 외곽으로 온산공단을 관통하는 4차선의 대로가 있다. 대부분 상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별다른 민속이 남아 있는 것은 없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2월 26일에 경상남도 울산시(울산군) 청량면 상남리 신덕하에서 채집한 새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덕출이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이 곡을 광대들이 부르는 것을 듣고 배웠다고 한다. 많은 새들의 특징을 집어내어 인간사의 모습을 비춘 재치있는 곡이나, 와전된 한문구가 많아 뜻을 자세히 알기 어렵다. |
가사 | 이 산으로 가믄 뿌꿍 뿌꿍
저 산으로 가믄 뿍 뿌꿍 뿌꿍 새가 새가 날아 든다 온갖 잡새 날아 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 만구 풍녕에 풍등새 공기 적다 공기 뚜르르 속공 소탱 호반새 단풍조창 떨쳐 나니 구만리 장천에 대봉새 문왕이 나 계서니 기산 조양에1) 봉안새2) 문한이 기우3) 깊은 회포 울고 가는 공작새 소산 적벽4) 칠월양5) 알연장명6) 백학이 글자를 뉘 전하리 가인 상사7) 기러기 생전장 수구락하니 어열풀사8) 채란새 유복귀인 석귀산에9) 소식 전튼 앵무새 성성제혈 염화지에10) 귀촉도 불여귀11) 저소 몽혼을12) 놀라 깨니 마고지상13) 꾀꼬리 어사부중에14) 잠이 들었다 잔지 깡깡 깐챙이 1) 기산조양(岐山朝陽) : 기산의 아침 해. 기산은 중국 섬서성에 있는 산. 그 기슭에 주나라가 서서 문왕 때에 봉황이 울었다 함. 2) 봉안새→봉황새 3) 무한기우(無限杞憂)? 4) 소산 적벽→소상적벽. 소상은 중국 호남성 동정호 남쪽 소수와 상강의 총칭. 적벽은 중국 호북성 황강현에 있는 명승지 5) 칠월야(七月夜) 6) 알연장명 : 금석(金石)이 서로 부딪쳐 나는소리와 같은 긴 울음 7) 가인상사(佳人想思);애인을 그리워 함 8) 어여풀사→어여뿔사 9) 유복귀인 석귀산에;위보가인(爲報家人) 수기서(誰寄書)에인 듯 10) 성성제혈 염화지(聲聲啼血 染花枝) 11) 귀촉도 불여귀(歸蜀道 不如歸) 12) 저소몽혼;요서몽(遼西夢)의 잘못인 듯 13) 마고지상;막교지상(莫敎枝上)의 잘못인 듯 14) 어사부중(御史府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