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울산군 강동면 당사리 우가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일순, 신말순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일순, 신말순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울산군 강동면 당사리 우가는 소 우(牛)자에 집 가(家)자를 쓰며 소가 대단히 잘 되어 소집이란 의미로 이런 명칭이 붙었다고 한다. 바닷가 마을로 감포와 울산시 사이에 있다. 버스가 자주 다니는 관계로 교통은 불편이 없다. 버스가 다니는 도로를 중심으로 윗 마을과 아랫 마을 로 나뉘어 있다. 밀양 박씨와 김해 김씨 등 대부분이 각성이다. 과거에는 농사도 지었지만 현재는 대부분 상업을 하거나, 공장 근로자로 울산시로 출퇴근하고 있다. 윗마을과 아랫 마을에서 각각 정월 보름, 유월 초하루, 시월 초하루 세차례 당산제를 올린다고 한다. 2월에 바람올리기가 성하며, 정월 보름의 달맞이 행사는 장관이라고 한다. 60여가구에 200여명의 인구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9월 3일에 경상남도 울산시(울산군) 강동면 당사리 우가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일순, 신말순이 참여하였다. 모심는소리이다. 가창자에 따르면 모는 아침에 찌고 새참을 먹고, 12시경에 점심을 먹고 모를 심고 저녁 세시에서 네시 경에 또 한 번 새참을 먹고 해질녘까지 모를 심었다고 한다. 노래의 내용은 처녀 총각의 구애의 노래가 많다. |
가사 | 총각아 총각아 너 볼라꼬 울타리야 담 밑에 새 질이 났네
처자야 처녀야 너 볼라꼬 상추 밭에다 새 질 났네 배꽃일세 배꽃일세 처녀 수건에 배꽃일세 배꽃 겉으나 수건 밑에 거울 겉은 눈매 보소 영천읍내 주남 뜰에 쟁피 훑는 저 큰 아가 날 마다꼬 가신 님이 훑던 쟁피를 다시 훑네 머리야 좋고 실한 처녀 울뽕 남게도 걸앉았네 울뽕 줄뽕 내 따 주마 백년언약을 내캉 사자 상추야 상간에 흐른 물에 상추 씩는 저 큰 아가 잎을랑 훑아서 광줄에 담고 쭐기 한 쌍을 나를 주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