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궁글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의령군 봉수면 서양리 서암의 논매는소리-궁글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태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이태수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서양리 서암은 예전에는 못이었는데 그 못을 메워 마을을 이루어 모두동이라고 불리었다. 대구와 진주로 가는 버스가 각각 두 세시간마다 들어와 다소 교통이 불편한 점이다. 100여 호에 200여 명의 인구인데, 밀양 박씨, 진양 강씨, 합천 이씨가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나머지는 각성이다. 농사로는 논농사가 대부분이지만 양파, 마늘, 오이, 단감 등도 생산하고 있다. 예전부터 민속놀이는 그다지 성행하지 않았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2일에 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서양리 서암에서 채집한 궁글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태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심은 후 보름 정도 지나 초벌매기를 할 때 대여섯 명이 모여 하는소리이다. 논맬 때는 몸을 숙이고 손으로 논바닥을 저으면서 풀을 뽑아 내면서 천천히 노래를 한다. 세 번의 논을 맬 때마다 각각 부르는 논매기 소리가 있었다고 한다. 가창자는 10세 전후에 집안 일을 도우면서 이 노래를 듣고 익혔다고 한다. 궁글레소리라고 한다. |
가사 | 얼려라 궁굴레야
얼려라 궁굴레야 궁굴레 소리도 정 잘 하네 얼려라 궁굴레야 단 독1) 같이 덥은 날에 얼려라 궁굴레야 이리 궁굴 저리도 궁굴 얼려라 궁굴레야 불쌍하다 우리 농부 얼려라 궁굴레야 자고 나도 궁굴어 보고 얼려라 궁굴레야 먹고 나도 요 종산가ㅛ 얼려라 궁굴레야 궁굴레 소리도 정 잘 하네 얼려라 궁굴레야 궁굴레 소리도 정 잘 하네 얼려라 궁굴레야 잘한다 궁굴레 소리 잘도 하면 얼려라 궁굴레야 개장국에다 흰 밥을 주고 얼려라 궁굴레야 궁굴레 소리도 못하는 사람 얼려라 궁굴레야 오뉴월 염천에 초학을2) 주소 얼려라 궁굴레야 불썽하다 우리 농부 얼려라 궁굴레야 이 논빼미야 궁굴어 가자 얼려라 궁굴레야 잡거 잡풀을 꺼머 묻고 (잘한다 ) 얼려라 궁굴레야 뒤에 곡숙은 가까워3) 주자 얼려라 궁굴레야 굽이 굽이 돌아 나가 얼려라 궁굴레야 이 논빼미 다 궁굴고 얼려라 궁굴레야 어는 곳을 궁굴러 갈꼬 얼려라 궁굴레야 조선 팔도 다 댕겨도 (잘한다 ) 얼려라 궁굴레야 우리 농부들 당할쏘냐 얼려라 궁굴레야 이리 저리 다 궁굴고 얼려라 궁굴레야 냇가에라 흐른 물에 얼려라 궁굴레야 우리 몸을 깨끗이 씻고 얼려라 궁굴레야 조선 팔도를 유람을 가자 얼려라 궁굴레야 얼려라 궁굴레야 얼려라 궁굴레야 이 논빼미 궁구다 보니 얼려라 궁굴레야 오뉴월에 삼복 시절 얼려라 궁굴레야 우리 농부가 떨어졌네 얼려라 궁굴레야 뒷 동산에 진달래는 얼려라 궁굴레야 이삼월이 다 지났던가 (잘 합니다 ) 얼려라 궁굴레야 철을 찾아 오난마는 얼려라 궁굴레야 떨어져언 우리야 농부 얼려라 궁굴레야 한 변 가면은 다시나 오나 얼려라 궁굴레야 얼려라 궁굴레야 얼려라 궁굴레야 (잘한다 ) 구시월이 다 지났던가 얼려라 궁굴레야 앞 동산에 나무잎도 얼려라 궁굴레야 철을 찾아서 낙엽이 오네 얼려라 궁굴레야 나무잎은 떨어져도 얼려라 궁굴레야 삼사월이 찾아 오면 얼려라 궁굴레야 다시 오기나 하지마는 얼려라 궁굴레야 한 변 가신 우리야 농부 얼려라 궁굴레야 십년이 가도 못 오시네 얼려라 궁굴레야 불쌍하다 우리 농부 얼려라 궁굴레야 죽지 말고 궁굴아 가자 얼려라 궁굴레야 얼려라 궁굴레야 얼려라 궁굴레야 1) 단 독→(열에) 단 돌 2) 초학→학질, 말라리아 3) 가까와→가꾸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