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물하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기원의례요 > 농업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의 나물하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연악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연악 |
지역개관 |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은 임진왜란 당시 마을 둘레에 산성이 있었고, 옛날에는 산이 거북같이 생겼다고 하여 구부골이라고 했다 한다. 하루 4번 윗마을까지 오는 버스가 있으나 비교적 교통이 불편한 편에 속한다. 김녕 김씨가 거의 반을 차지하고 청주 이씨와 김해 김씨 등 각성이 분포되어 있는 55가구에 170여 명이 이루고 있는 마을이다. 논농사 외에 비닐 하우스에서 수박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정월 초하루 새벽 1시 경에 당산제를 지내고, 아직 마을의 반 정도가 바람 올리기를 하고 있으며, 성주를 모시는 집이 몇 가구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2일에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에서 채집한 나물하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연악이 참여하였다. 2월 초하루에 왔다가 중순경에 돌아간다는 영등할머니에게 나물을 많이 뜯게 해달라고 하는 기원의 내용이 섞인 노래이다. 영등할머니는 며느리를 데리고 올 때는 비를 오게 하여 옷이 젖게 하고 딸을 데리고 올 때는 바람을 불게 해 딸의 치마를 날려 자태를 뽐내게 한다고 전해진다. 이 노래는 딸에 대한 영등할머니의 편애를 이용하여 나물을 많이 띁게 해달라고 하고 있다. 어린 시절 할머니께서 부르시는 노래를 듣고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영도씨 할마씨1)
내 나물 광주리 불아주소 자네 딸 시집갈 때 농 두 바리 궤 두 바리 코리2) 닷죽 실리 주께 1)영도씨 할마씨: 영등할머니. 음력 2월 초하루에 들어와 보름에 나간다는 바람의 신. 한 해의 풍흉을 관장한다고 믿는다. 2)코리→고리: 고리버들이나 대오리로 결어서 만든 상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