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남도령과 서처녀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의 남도령과 서치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연악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연악 |
지역개관 |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은 임진왜란 당시 마을 둘레에 산성이 있었고, 옛날에는 산이 거북같이 생겼다고 하여 구부골이라고 했다 한다. 하루 4번 윗마을까지 오는 버스가 있으나 비교적 교통이 불편한 편에 속한다. 김녕 김씨가 거의 반을 차지하고 청주 이씨와 김해 김씨 등 각성이 분포되어 있는 55가구에 170여 명이 이루고 있는 마을이다. 논농사 외에 비닐 하우스에서 수박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정월 초하루 새벽 1시 경에 당산제를 지내고, 아직 마을의 반 정도가 바람 올리기를 하고 있으며, 성주를 모시는 집이 몇 가구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2일에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에서 채집한 남도령과 서처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연악이 참여하였다. 나물을 뜯으러 가서 연애를 하는 남도령과 서처녀의 이야기를 서사적 구조로 엮고 있다. 나물을 캐는 처녀들의 흥겨움을 더 해주면서 이성에 대한 호기심을 적절히 용해시킬 수 있는 노래라고 할 수 있다. |
가사 | 남산 밑에 남도령아 서산 밑에 서처녀야
오늘 일기가 청명하다 나물 캐러 가나 보자 나물 캐러 갈라 하니 소구리가 있나 칼이 있나 남도령 줌치 털털 텅께 돈 반돈이 들었구나 일 전 주고 칼을 사고 이 전은 주고 소쿠리 사고 꽃 방우리 옆에 찌고 산들이 산들 들어 간다 올라 가민 올개사리 아듬 다듬 꺾어 담고 내리 오면 늦개사리 아듬 다듬 꺾어 담고 경치야 좋은 바우 끝에 점슴 밥을 패여 보니 남도령 밥은 패여 보니 삼 년이나 묵으난 꽁보리밥 서처녀 밥을 패여 보니 율무겉은 쌀뱁이라 서처녀 밥은 남도령이 묵고 남도령 밥은 서처녀가 묵고 내가 니 밥을 묵었으니 백년 언약을 맺어야다 얼씨구 좋네 절씨구 좋네 이렇게 좋을 줄 내 몰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