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영감아 영감아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의 영감아 영감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연악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연악 |
지역개관 |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은 임진왜란 당시 마을 둘레에 산성이 있었고, 옛날에는 산이 거북같이 생겼다고 하여 구부골이라고 했다 한다. 하루 4번 윗마을까지 오는 버스가 있으나 비교적 교통이 불편한 편에 속한다. 김녕 김씨가 거의 반을 차지하고 청주 이씨와 김해 김씨 등 각성이 분포되어 있는 55가구에 170여 명이 이루고 있는 마을이다. 논농사 외에 비닐 하우스에서 수박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정월 초하루 새벽 1시 경에 당산제를 지내고, 아직 마을의 반 정도가 바람 올리기를 하고 있으며, 성주를 모시는 집이 몇 가구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2일에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에서 채집한 영감아 영감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연악이 참여하였다. 가창자의 설명에 의하면 옛날에 가난한 노부부가 살았는데 어찌나 굶주렸던지 할멈이 품팔이로 디딜방아를 찧어 주고 보리 등겨를 얻어와서 개떡을 쪄서 영감에게 주려 했더니 영감이 이미 굶어 죽어 있더라는 얘기다. 이 소리에서는 이러한 정황이 짧은 가사 속에 표현되고 있다. 개떡노래라고도 한다. 자진아라리 곡조에 엇모리장단이다. |
가사 | 영감아 영감아 죽지 마라
보리방아 품 들어서 개떡 쪘다 개떡을 쪘시만 작기나 쪘나 서말지1) 솥에다 솥째로 쪘다 1) 서말지→서 말이 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