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소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의 소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연악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연악 |
지역개관 |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은 임진왜란 당시 마을 둘레에 산성이 있었고, 옛날에는 산이 거북같이 생겼다고 하여 구부골이라고 했다 한다. 하루 4번 윗마을까지 오는 버스가 있으나 비교적 교통이 불편한 편에 속한다. 김녕 김씨가 거의 반을 차지하고 청주 이씨와 김해 김씨 등 각성이 분포되어 있는 55가구에 170여 명이 이루고 있는 마을이다. 논농사 외에 비닐 하우스에서 수박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정월 초하루 새벽 1시 경에 당산제를 지내고, 아직 마을의 반 정도가 바람 올리기를 하고 있으며, 성주를 모시는 집이 몇 가구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2일에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상촌에서 채집한 소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연악이 참여하였다. 소의 불쌍한 일생을 이야기한 노래이다. 농민들의 어렵고 힘든 삶을 이야기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친정에서 열 살 전후에 할머니에게서 듣고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칠 팔월 더우갈이1)
가니라꼬 가건마는 이구팔사2) 이까리로3) 이내 등을 후려치니 등갈비가 뜨끔 귿고 그르그르4) 갈아 놓고 좋은 꼴 좋은 풀로 묵으라꼬 놓건마는 퍼리는 앵기 쌓고 댕기란5) 놈 물고 차고 숨이 차서 넘어 본께 집이라꼬 들어오니 대숭바슨6) 저 지집이 신 꾸정물 신 등기로7) 묵으라꼬 주건마는 맛이 엄서 못 묵은께 빙들었다 하옵시고 날랜 박장8) 불러다가 이내 껍질 뱃기 내여 북 장구 매와시고 이내 살랑 뜯어 내어 만 인간이 갈라 먹고 1) 더우갈이→ 더운갈이 : 한참 가물었다가 소나기가 왔을 때 얼른 논을 가는 일. 2) 이구팔사→여러 가닥으로 엮은 줄 3) 이까리→고삐 4) 그르그르→그럭저럭 5) 댕기 : 쇠등에. 가축과 사람에 덤벼 흡혈을 함 6) 대숭바슨→멍청스런 7) 등기로 : 등겨를 8) 박장 : 백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