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개 둥개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양군 수곡면 원외리의 아이어르는소리-둥개 둥개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맹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맹생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진양군 수곡면 원외리는 들원당이라고도 하며 원내, 신촌, 서촌, 원동, 원외를 총칭해서 원당이라고 하며 이 가운데 한 마을이다. 버스는 하루에 한 번 밖에는 들어오지 않는다. 진양 강씨가 마을을 처음 열었다고 하며, 현재에도 진양 강씨가 가장 많다. 이 외에 밀양 박씨, 창녕 조씨 등이 분포되어 있다. 74호에 260여명의 인구이며 논농사가 가장 많고, 비닐하우스에서 고추, 딸기, 수박 등을 생산해내는 비교적 부유한 농촌이다. 오래 전부터 당산제를 지내지 않고 있으며, 다른 민속놀이도 현재는 행해지지 않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4월 16일에 경상남도 진주시(진양군) 수곡면 원외리 왼외마을에서 채집한 둥개 둥개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맹생이 참여하였다. 귀한 자식을 얻은 기쁨을 표현한 노래이다. 생김새를 다른 사물들의 모양새와 비교해서 표현하는 재치가 있다. |
가사 | 둥개둥개 둥천아
방개방개 방천아 버들잎에 납선인가 달 가운데 디순인가1) 물밑에 수달핀가 덩굴 밑에 무질랭이2) 물 밑에라 수달피는 해지미나3) 앉았건용 달 가운데 디순이는 구름이나 가리건용 덤불 밑에 무질래는 가시나 돋치건용 니 어디 갔다 인지 왔네 하늘에서 나리 왔나 땅에서 솟아 왔나 바람에 부쳐 왔나 구름에 실리 왔나 니 어디 갔다 인지 왔네 은을 주고 너를 사까 돈을 주고 너를 살까 남년북답4) 장만한들 이에서 더 좋겠나 어허 둥둥 내 아들아 동세 식기전에5) 갔더나 둥글둥글 생깄다 양푼전에 갔더나 두리나 넙적 생깄다 바구전에6) 갔더나 하여 물미도7) 생깄다 이 남자가 이래도 대구 영남 갔시먼 탕건 짜리가8) 번듯타 1) 디순이:제보자는 계수나무라고 한다. 2) 무질랭이:찔레꽃의 순 3) 해지미:제보자는 수초의 일종이라고 한다. 4) 남년북답 : 남전북답(南田北畓) 5) 식기전 : 그릇을 파는 곳 6) 바구전 : 바위가 많은 곳? 7) 하여 물미도 : 허여멀겋게? 8) 탕건 짜리:탕건을 쓰는 벼슬아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