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모곡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마산시 합포구 산호동의 사모곡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여임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여임록 |
지역개관 | 창원군은 소백산맥이 종횡하여 그 방향이 일정치 아니하고 대체로 서부쪽으로 뻗어 있어 서북이 높고 동남이 낮다. 동쪽으로 흐르는 낙동강 유역일대의 평야지에서 각종 농산물이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남쪽의 해안선은 자연만과 대도시가 산재하고 있어 좋은 풍치를 이루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5년 10월 16일에 경상남도 창원시(마산시) 합포구 산호동에서 채집한 사모곡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여임록이 참여하였다. 돌아가신 엄마를 그리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어린 딸들이 죽은 엄마를 그리워하는 노래가 우리 민요에 많다. |
가사 | 앞밭에 배차 심어
겉잎 같은 울어매야 속잎같은 나를 두고 임으 정도 좋지마는 자슥 정을 띠고 가요 엄마 생각 한탄하다 집으로 돌아가서 엄마소리 불러 보니 우리 엄마 간 곳 음꼬 뒷동산 솔잎새가 지가 만날 대답한다 새야 새야 솔잎새야 우리 엄마 어데 가고 니가 만날 대답하노 느그 엄마 가는 데는 저승가는 배를 타고 황천질을 구경 갔네 언제 새나 올라드노 놋종지라 죽신 올라 그 대 커서 왕대 되어 왕대 끝에 학이 앉아 회를 치고 나르면은 온다더니 꽃튼 따서 머리 꼽고 피끼 뽑아 손에 들고 송곳 뿔라 짝지 짓고 너 찾아를 올라더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