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창원군 북면 신촌리 온천의 논매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진대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진대수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창원군 북면 신촌리 온천은 예전부터 온천물이 솟아 온천마을이라고 했다. 현재의 마금산 온천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상업 위주의 마을로 변모하게 되었다. 가을과 겨울 그리고 봄철에 많은 관광객이 몰린다. 마산과 창원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이 삼십분 간격으로 있어서 교통이 매우 편리한 편이다. 250여 가구에 800여 명의 인구로 논농사와 상업을 주로 하며, 이 외에 단감도 많이 재배하는 편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6월 24일에 경상남도 창원시(창원군) 북면 신촌리 온천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진대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을 맬 때 부르는 노래이다. 풍물패가 먼저 풍물을 치고 나가면 뒤에서 논을 매고 마지막 사람들은 버들가지 등으로 쇠파리를 쫓아냈다고 한다. 처음 아시논매기는 모심은 후 이십 일에서 삼십일 정도에 하고, 두벌논매기는 음력으로 6월 중순께 하며, 마지막 망수논매기는 음력 7월 초순에 하게 된다. 논을 맬 때는 손가락에 맞게 잘라 뾰족하게 만든 대나무를 엄지 외의 여덟 손가락에 끼고 논바닥을 긁어 내면서 풀 등을 제거한다. 망수논매기는 덥기도 하고 나락잎이 거세어져서 몸을 긁어대기 때문에 가장 어려웠다. |
가사 | 상사디여
상사디여 허리 허리 내 허리야 허리 아파서 못 하겠네 상사디여 이내 허리 육십 살 모디모디가 다 녹는다 상사디여 배는 고파 등에 붙고 옷은 젖어서 몸에 붙네 상사디여 집이라꼬 찾아가니 그것도 일이라꼬 상사디여 늦어 오나 늦어 오나 짐슴 때가 늦어 오나 상사디여 이 후후후후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