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충무시 중앙동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도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이도수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충무시 중앙동은 매립지로서 원래는 바다였기 때문에 고유한 동이름이 없었다. 주변에 일제시대때 서정이라고 하는 마을이 있었으며, 장터가 있었다. 지금도 시장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지역르로 충무시의 중심가라고 할 수 있다. 성씨는 외지 출신들이 많은 관계로 뚜렷이 많은 성씨는 없다. 450여 호에 2000여 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10일에 경상남도 통영시(충무시) 중앙동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도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저승으로 가는 행로와 저승의 모습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는 상여소리다. |
가사 | 어허 세상천지 만물 중에는 사람 밲이 또 있는가
아아아 에헤에 여보시오 시주님네 이 내 한 말 들어보소 이 세상 나온 사람 누 덕으로 나왔던가 헤 아아아 에헤에 석가여래 은덕으로 아버님 전 뼈를 타고 어머님전에 살을 타서 우리 인생이 생깄는데 헤 아아아 에헤에 칠성당은 명을 빌고 제석궁에1) 복을 타서 우리 인생이 모두가 탄생이 되었건마는 헤 아아아 에헤에 한 두 살은 철을 몰라 부모님 은공 모리시고 이삼십이 당도되여도 부모 은공을 못 다 갚아 무정 세월이 여루하여서2) 원수로다 원수로다 백발이 되니 원수로구나 헤 아아아 에헤에 어허 이팔청춘 소년들아 우리 늙은 백발 보고 너무 그리 윗지 마라 엊그제께 우리도 청춘이던마는 백발 되기가 잠시 잠깐 돌아오네 헤 아아아 에헤에 춘초는 연연록이요3) 왕손은 귀불귄데4) 헤 우리 인생은 오늘 가면 언제 다시 돌아올까 헤 아아아 에헤에 어허 무정하다 세월이야 언제 백발 되여서로 황천 고혼이 되어가는고 오호 청춘시절이더마는 늙어진께 원통하네 헤 아아아 에헤에 어제 오늘 성턴 몸이 저녁 나절 병이 들어 심심하고5) 약한 몸에 태산겉은 병을 실어 허 아아아 에헤에 어허 인삼녹용 약을 씬들 약덕인들 입으실까 무녀 불러 굿을 한들 굿덕도 몬 보았네 헤 아아아 에헤에 간수6) 불러 설경한들 경덕인들 입을손가 어 그래도 몬다하여 재미쌀로7) 또 실고8) 실어서 명산을 올라가서 상탕에는 밥을 짓고 중탕에는 목욕을 하고 에헤 아아아 에헤에 하탕에 수족을 씩거 촛대 한 쌍을 좌우로 벌기 놓고 행로불 갖초와 소지를 삼장 올린 후에 헤 아아아 에헤에 비나니다 비나니다 하나님전 비나니다 칠성궁에 축원하고 부처님전에 아무리 봉양을 디리 본들 아아아 에헤에 어허 어는 부처 감동하야 우리 부모님을 구해 줄꼬 아이고 아이고 원통하네 헤 아아아 에헤에 어허 무정하다 저승차사 무정하고 야속하네 저승차사가 야속하네 우리 부모님 성명 삼 자 점을 찍어 얼릉 배삐 불러 오라꼬 재촉을 하시는데 아아아 에헤에 어허 저승차사들 거동 봐라 한 손에 철봉 들고 또 한 손에 창검 들고 오라 사슬을 빗기 차고 우리 부모님을 부리러 오네 헤 아아아 에헤에 어허 제일전에 진광대왕9) 제이전에 초광대왕10) 제삼전에 송제대왕11) 제사전에 오간대왕12) 아아아 에헤에 어허 제오전에 염라대왕님13) 제육전 번성대왕14) 제칠전 태산대왕15) 제팔전 평등대왕들16) 거동봐라 하 아아아 에헤에 어허 제구전에 도시대왕17) 제십전에 오두전융18) 대왕님전 매인 육십육갑 사자들 모두 거동을 보소 아아아 에헤에 에헤 육십육갑 사자들 거동보소 재판관으 말로 듣고 옥사장 분부를 듣던마는 어서 배삐 불러오라 재촉을 하시는데 사자들 거동을 보소 호 아아아 에헤에 연직사자 월직사자 일직사자 시직사자 태양성군 태음성군 나우성군 계두성군 아아아 에헤에 어허 사자들이 모두 좌우 홀목에다 한 손에 철봉 잡고 또 한 손 창검 들고 오라 사슬 옆구리 불끈 차고 우뚝 우뚝 서서로 성명 삼자 손에 들고 부모 노부모로 불러 갈라 쫓아오네 헤 아아아 에헤에 어허 이 사자 거동 보고 저 사자 거동보소 활등같이 굽은 길로 살대같이 따라 와서 문전에 당도터니 철통겉이 소래를 높이 치맨 성명 삼자로 불러 내네 헤 아아아 에헤에 어허 아이구 아이구 내 일이야 아이구 아이구 내 설음아 이 백년을 살 끼라꼬 어린 자슥 좌우로 거느리고 이날까지 사던 세상 인지는 막중 하직되었고나 하 아아아 에헤에 어허 사자들 거동보소 우루룩 달려 들어 실낱같은 우리 몸에 태산겉은 오라 사슬 불끈 채아서 같이 가자꼬 소리를 높이 치네 헤 아아아 에헤에 어허 인제는 할 일 없고 할 일 없네 하직이네 하직이네 인간 하직이 적막하다 인간 하직이야 자손들 홀목을 부여 잡고 아이고 아이고 막중 하직 내가 떠나간다 하 아아아 에헤에 어허 아이고 아이고 내 일이야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이 진다꼬 울지 말고 잎이 진다 울지 마라 동삼 석달 죽었다가 명년 춘삼월이 다시 오면 꽃은 피어 화산되고 잎은 피어서 청산이 될 끼로되 헤 아아아 에헤에 우리 인생은 오늘 황천 떠나 가면 언제 와서 만내 볼꼬 언제 이 세상을 돌아 올꼬 아이고 아이고 내 설음이야 하 아아아 에헤에 어허 저승길이 몇천리 몇만리나 되였던고 한번 이 길 떠나가면 다시 언제 돌아올까 하 아아아 에헤에 어허 처자공으19) 폴목을 불끈 잡고 만단 설화 몬다하고 정신 차려 살펴 보니 약탕관을 벌리 놓고 행로 행화20) 불갖초와 살릴라꼬 애를 씨는 자공들이건마는 아아아 에헤에 어허 불로초도 씰 데 엄고 불사약도 씰 데 엄서 황천길로 떠나고 말았고나 헤 아아아 에헤에 어허 우리 고향 산천도 이별이고 일가친척 삼강오륜 전부 다 이별이고 동네방네 남녀노소 모두가 이별하고 나는 오늘 황천을 떠나가네 헤 아아아 에헤에 어허 황천을 가는 길이건마는 황천이 몇 천리고 몇 만리나 되였던고 오늘 가면 막중인데 에헤 황천이 그리 바빠 이리 쉽기 내가 가나 하 아아아 에헤에 어허이 친구 벗도 많더마는 오늘 우리 친구 어데 보이면 일가친척 많다 해도 어는 일가 어른 날 찾을까 헤 아아아 에헤에 저승길이 멀다 해도 문턱 밲이 저승이고 북마산천 멀다 해도 저 건네 앞산 저기 북마로구나 하 아아아 에헤에 어허어어어어넘 어허넘 어화리넘차 어허넘 어화넘 어화넘 어화리넘차 어화넘 북마산천이 멀다 해도 저 건네 가면 북마로구나 어화넘 어화넘 어화리넘차 어화넘 구사당을 하직하고 신사당을 정배하고 대문밖을 썩 나서니 적삼 내어 손에다 들고 혼백을 세 번 불러 초혼을 올리시니 없던 곡식이 낭자하구나 헤 어화넘 어화넘 어나리넘차 어화넘 1) 제석궁(帝釋宮);제석을 모신 곳. 제석은 범왕(梵王)과 더불어 불법을 지키는 신. 2) 여루하여서→여류하여서(如流---);물 흐르듯하여 3) 춘초(春草)는 연연록(年年綠);봄풀은 해마다 푸름 4) 왕손(王孫)은 귀불귀(歸不歸);왕손은 가고 돌아오지 않음 5) 심심하고;섬섬하고(纖纖---)의 잘못인 듯. 즉 연약하고 가냘프고란 뜻 6) 간수;판수의 잘못인 듯 7) 재미쌀(齋米--);중에게 보시로 주는 쌀 8) 실고→쓿고, 방아를 찧고. 9) 진광대왕(秦廣大王) : 사람이 죽어서 거쳐가야 하는 명부(冥府)의 십대왕(十大王) 중 첫 번째 대왕. 한빙지옥(寒氷地獄)과 극락세계를 관장한다고 함. 10) 초강대왕(初江大王) : 석가불. 시왕의 두 번째 시왕. 금수지옥(禽獸地獄)과 연화(蓮花)세계를 관장함. 11) 송제대왕(宋帝大王) : 문수보살(文殊菩薩). 세 번째 대왕으로 거해(巨海)지옥과 화장(華藏)지옥을 관장함. 12) 오관대왕(伍官大王) : 보현보살(普賢菩薩). 네 번째 대왕으로 항마(項魔)지옥과 법화(法華)세계를 관장함. 13) 염라대왕(閻羅大王) : 지장보살(地藏菩薩). 다섯 번째 대왕으로 독사(毒蛇)지옥과 만월(滿月)세계를 관장함. 14) 변성대왕(變成大王) : 미륵보살(彌勒菩薩). 여섯 번째의 대왕으로 발설(拔舌)지옥과 승음(勝陰)세계를 관장함. 15) 태산대왕(泰山大王) : 약사여래(藥師如來). 제칠전에 있으면서 암흑(暗黑)지옥과 법세(法歲)세계를 관장함. 16) 평등대왕(平等大王) :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제팔전에 있으면서 철강(鐵鋼)지옥과 무우(無憂)세계를 관장함. 17) 도시대왕(都市大王) :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제구전에 있으면서 풍수(風水)지옥과 무량(無量)세계를 관장함. 18) 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 : 아미타불(阿彌陀佛). 제십전에 있으면서 화탕(火湯)지옥과 유리광음(琉璃光陰)세계를 관장함. 19) 처자공;처자식 20) 행로 행화→향로 향화(香爐 香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