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영감아 영감아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통영군 사량면 금평리 진촌의 영감아 영감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오금입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오금입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통영군 사량면 금평리 진촌은 지금은 담처럼 되어 있으나 원래는 성벽이 있었다. 마을 앞에 까지 물이 들어 왔으나 지금은 매립되어 50미터 정도의 빈 터가 있다. 최영 장군이 왜구를 막기 위해 주둔하며 진을 쳤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현재 최영 장군의 사당이 마을 뒷편의 당산나무 옆에 있다. 마을의 이름도 최영 장군이 쳤던 진에서 기원한다. 삼천포에서 출발하는 다리호가 차를 싣고 하루에 6회 왕복하고, 엔젤호가 동절기에는 2회 하절기에는 3회 운행된다. 마을 뒷편에 해수욕장이 있어 여름철에는 많은 피서객들이 찾는다. 성씨로는 추씨와 차씨가 많고 196호에 637명의 인구이다. 밭농사로는 고구마와 콩, 마늘이 있으며, 양식업이 성행하고 멸치잡이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8월 15일과 정월 보름에 당산나무에서 풍어제를 겸한 당산제를 지내며, 정월 보름에는 각 집에서 상을 차리고 풍어제를 지내며 잡귀를 쫓는 의례를 행한다. 용신제는 당산나무에서 정월 보름에 무당을 불러서 지내고 있으며, 같은 날에 달불놀이를 하며 달맞이 행사를 하는데 이 때에는 군수도 참석하여 크게 행사를 가진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8월 20일에 경상남도 통영시(통영군) 사량면 금평리 진촌에서 채집한 영감아 영감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오금입이 참여하였다. 일반적인 영감아 영감아 노래에서는 개떡조차 못 먹고 죽은 영감에 대한 안타까움을 노래하고 있었는데, 이 노래에서 반대로 장난기가 있다. 영감타령 또는 개떡노래라고도 한다. |
가사 | 영감아 영감아 개떡 묵게
꿀 보른 개떡은 내가 묵고 춤 보른 개떡은 영감 줌세 영감아 영감아 개떡 묵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