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징금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통영군 한산면 용호리 호두의 징금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양귀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양귀연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통영군 한산면 용호리 호두는 한자로는 용 용자에 머리 두자를 쓰는데, 원래 거제에 속했을 때는 호수 호자에 머리 두 자를 썼다. 옛날 지명은 물암이라고 하였는데 이 말의 뜻은 물을 안고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아침 8시 10분과 오후 3시 10분에 들어 왔다 나가는 배가 있다. 400여 년전에 경주 이씨들이 들어와서 마을을 이루었는데 현재는 100여 호에 430명 정도의 인구이며 밀양 박씨가 가장 많고 경주 정씨, 진양 강씨, 김해 김씨 등이 있다. 농사는 거의 없으며, 미역 우뤙생이 등의 양식이 주를 이룬다. 어촌계에서 운영하는 일종공동어업이 경제적으로는 가장 큰 바탕을 이룬다. 섣달 그믐 자정을 전후해서 당산나무에서 당산제를 올렸으나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 사라호 태풍때 해일이 일어서 마을 전체가 물에 잠기었는데 정부 보조금으로 다시 마을을 일으켰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8월 21일에 경상남도 통영시(통영군) 한산면 용호리 호두에서 채집한 징금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양귀연이 참여하였다. 경상남도 일대에 퍼져있는 노래이다. 가창자는 징검이를 실존 인물이라고 하며 믿고 있다. 두 사람이 서로 마주서서 춤을 추며 부르기도 한다. |
가사 |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요내 눈을 배어서 안경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요내 귀로 빼어서 쪽박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요내 손을 뿌사서 까꾸리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요내 목을 비어서 장군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요내 폴로 비어서 꼭두마리전에다1)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요내 캐를2) 비어서 굴뚝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요내 창시를 빼어서 빨래줄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요내 둥치로 폴아서 매통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요내 다리로 비어서 목발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이내 발목을 뿌사서 방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내가 쎄로 빼어서 신짝전에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징검아 징검아 징검아 내 돈 석냥 주라 네 돈 석냥 주꺼마 내가 일신을 폴아서 전치마당3) 다 폴아도 네 돈 석냥 주꺼마 어허 디이야 1) 꼭뚜마리→꼭지마리;물레를 돌리는 손잡이 2) 캐→코 3) 전치마당;전체(全體)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