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엿장수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상업노동요 > 호객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통영군 한산면 용호리 호두의 엿장수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허일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허일연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통영군 한산면 용호리 호두는 한자로는 용 용자에 머리 두자를 쓰는데, 원래 거제에 속했을 때는 호수 호자에 머리 두 자를 썼다. 옛날 지명은 물암이라고 하였는데 이 말의 뜻은 물을 안고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아침 8시 10분과 오후 3시 10분에 들어 왔다 나가는 배가 있다. 400여 년전에 경주 이씨들이 들어와서 마을을 이루었는데 현재는 100여 호에 430명 정도의 인구이며 밀양 박씨가 가장 많고 경주 정씨, 진양 강씨, 김해 김씨 등이 있다. 농사는 거의 없으며, 미역 우뤙생이 등의 양식이 주를 이룬다. 어촌계에서 운영하는 일종공동어업이 경제적으로는 가장 큰 바탕을 이룬다. 섣달 그믐 자정을 전후해서 당산나무에서 당산제를 올렸으나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 사라호 태풍때 해일이 일어서 마을 전체가 물에 잠기었는데 정부 보조금으로 다시 마을을 일으켰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8월 21일에 경상남도 통영시(통영군) 한산면 용호리 호두에서 채집한 엿장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허일연이 참여하였다. 가창자가 어릴 때 엿장수가 하는소리를 듣고 배웠다고 한다. 이 마을에서 별신굿을 할 때마다 엿장수가 와서 엿을 팔면서 노래를 불렀다. 엿타령이라고도 한다. |
가사 | 어허 엿 사시오 엿
엿 사시오 땡땡땡 엿 사시오 엿 사시오 엿 사 울령도 호박엿 엿 사시오 연해 욕지 고구매엿 강원도 강냉이엿 피안도 피안엿 해변놈은 갈파래떡 갈파래엿 산중놈은 칡가래엿 엿 사시오 엿엿엿 엿 사시오 달고 달은 박하엿 앞집에 뒷집에 눈이 살커시 씨있는1) 엿 엿 사시오 엿 처녀 총각 뚝 떨어지면 붙이 주던 엿 사시오 엿 1) 씨있는→눈에 어른거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