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통영군 광도면 죽림리 홀리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말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김말선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통영군 광도면 죽림리 홀리는 골이 좁기 때문에 홀리골이라고 불리고 있다. 하루에 10여 차례 충무 시내로 나가는 버스가 있어 교통의 불편은 거의 없다. 50여 호에 120여 명의 인구이며 밀양 박씨가 12가구로 가장 많고 7가구인 전주 최씨가 그 다음이다. 논농사와 함께 비닐하우스에서 토마토, 오이, 고추, 고구마 등을 재배하고 있으마 논농사가 중심이다. 원래 지내던 동제를 30여 년전부터 지내지 않고 있다. 마을 뒷산에 제석사와 정덕사라는 사찰이 있어 불교 신자가 많은 편에 속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8월 29일에 경상남도 통영시(통영군) 광도면 죽림리 홀리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말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심을 때 부르는 노래이다. 저녁에 해가 질 무렵에 부르던 내용으로 돼 있다. 영남지방의 일반적인 정자소리 계통의 모심는소리와 노랫말은 비슷하나, 영남지역에서 논매는소리로 많이 부르는 상사디여를 모심을 때 불렀다는 것은 호남지방의 모심는소리와 연관이 있음을 짐작케 한다. |
가사 | 상사디이여
상사디이여 일월해가 다 졌는가 상사디이여 골골마다 연기가 나네 상사디이여 우리 할멈 어에 가고 상사디이여 딸에 동자를1) 시기나 놓고 상사디이여 내고 낼 줄로 모리는고 상사디이여 땀북 땀북 수제비는 상사디이여 사우 상에 다 오리고 상사디이여 노랑 감티를2) 시기나 씨고3) 상사디이여 물국 시기가4) 더욱 섧네 상사디이여 아버님도 그 말씸 말소 상사디이여 그에 사람은 손이라꼬 상사디이여 한 수지가만5) 더 올랐소 상사디이여 아버님은 부모라꼬 상사디이여 한 수지가 설6) 올랐소 상사디이여 상사디이여 상사디이여 남산 밑에 논을 치와7) 상사디이여 수양버들로 봇물로 대여 상사디이여 몬 다 맬 논 다 매다가 상사디이여 수 많은 동무로 잃고나 가요 상사디이여 상사디이여 상사디이여 1) 동자;밥 짓는 일 2) 감티→감투 3) 시기나 씨고;숙여 쓰고 4) 물국 시기가 ; 국물 먹기가 5) 한 수지가만→한 수저만 6) 설→덜 7) 치와→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