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의 논매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병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황병인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는 솔 송자에 즐거울 락자를 마을의 이름으로 하고 있는데, 예전에 마을의 양쪽 산에 있는 소나무의 그림자가 마을 중간의 연못에 해뜰 때와 해질 때 비치는 것을 보고 즐거워 했다고 하여 이름지어 졌다고 한다. 현재 소송낙과 중송낙, 대송낙의 세 마을로 나뉘어 있다. 아랫 마을인 신기까지 가서 마산, 남지 등으로 가는 버스를 하루에 대 여섯번 탈 수 있다. 70여 호에 140여 명의 인구로 창원 황씨와 김녕 김씨가 가장 많다. 마을 전체가 연잎으로 뒤덮인 듯이 보일 정도로 연밭이 많아서 여기에서 연근을 많이 생산하여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다. 심지어는 원래 논이었던 것을 연밭으로 바꾸어 연근을 생산하는 농가가 상당히 많다. 이 외에 수박을 주로 생산하는 비닐 하우스가 많고, 포도, 감, 복숭아 등의 과일 농사가 대단히 성하다. 100년 정도 된 괴목이 당산나무 혹은 당산할배로서 음력 9월 14일에 제사를 올리고 있다. 이 때에는 이장이 직접 대를 잡아 정결한 사람을 택해 정성을 드리고 모신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9일에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병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한창 더운 오뉴월에 10여명이 논을 매면서 고통을 잊기 위해서 하던 노래이다. 가사의 내용은 거의가 신세타령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마지막 부분에서는 일을 마치고 안락한 가정으로 돌아 가는 기쁨을 표현하고 있다. 후렴 중간에 선창자가 디 하고 소리를 해주는 점이 특이하다. |
가사 | 디 디
디이여어 우리 농부들 내 말 듣소 상사 (디 ) 디이여어 어이 어떤 사람은 팔자 좋아 상사 (디 ) 디이여어 고대광실 높은 집에 상사 (디 ) 디이여어 사모에다 -이 핑경 달고 상사 (디 ) 디이여어 동남풍이 디리 불어 상사 (디 ) 디이여어 핑경소리가 완연하네 상사 (디 ) 디이여어 넘 날 적에 나도 나고 상사 (디 ) 디이여어 내 날 적에 넘도 나고 상사 (디 ) 디이여어 다같이도 났건마는 상사 (디 ) 디이여어 어떤 사람은 팔자가 좋아 상사 (디 ) 디이여어 사모에 핑금 달고 동남풍 디리 불어 고대광실 징기는데1) 상사 (디 ) 디이여어 우리 농부들은 무삼 죄로 상사 (디 ) 디이여어 오뉴월 삼복시절 상사 (디 ) 디이여어 덥고 더분 이 벹 아래 상사 (디 ) 디이여어 덥고 더분 이 더부로 상사 (디 ) 디이여어 얼른 매고 나도 가서 상사 (디 ) 디이여어 신선 모욕 나도 하고 상사 (디 ) 디이여어 신선하고 공기 좋은 상사 (디 ) 디이여어 한 잔 먹고 한 심 자고 상사 (디 ) 디이여어 얼른 바삐 집에 가서 상사 (디 ) 디이여어 빵긋 윗는 애기 도령 상사 (디 ) 디이여어 아빠 쿠고 앉일 적에 상사 (디 ) 디이여어 얼른 안고 들어갈 제 상사 (디 ) 디이여어 사랑하고 꽃 같은 임 상사 (디 ) 디이여어 오늘 하루 고생 묻고 상사 (디 ) 디이여어 이렁 저렁 다 되였다 상사 (디 ) 디이여어 ※ ()안의 (디 )는 선창자가 부르는 것임 1) 징기는데→지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