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뚝박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토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중동의 말뚝박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안상정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안상정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중동은 끝 말자에 묏 산자를 쓰며, 원래는 집은 별로 없고 풀밭이 많아서 소를 많이 놓아 키웠기 때문에 방목(放牧)이라 불렸다. 말산이라는 이름은 넓은 들판으로서 산의 끝이란 의미로 일제때부터 쓰인 것이다. 원래는 늪지역이었었는데 진주 남강의 댐공사로 인하여 물이 많이 빠지고 현재는 가야읍의 중심을 이루는 지역으로 변했다. 능성 구씨와 창녕 조씨 등이 처음으로 터전을 잡았으나 현재는 타지에서 온 각성이 더욱 많다. 주로 벼농사가 중심이며, 비닐하우스에서 수박 등을 재배하는 가구가 소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는 모두가 상업에 종사하고 있다. 원래는 민속놀이들이 있었으나 외지인들이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모두 행하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8년 1월 30일에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중동에서 채집한 말뚝박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안상정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망깨로 말뚝이나 다릿발을 박으면서 하는소리이다. 노랫말 가운데 줄을 당기는 부분이 나오므로 큰 말뚝을 박는 작업임을 알 수 있다. 장대를 삼각형으로 모아 세우고 줄을 걸어 망깨를 달아 잡아당겼다 놓으면서 그 아래에 놓인 말뚝을 박는다. |
가사 | 어이야라차하
어이야라차하 차하 산지조종은 곤룡산이요 차하 수지조종은 황해수라 차하 어이야라차하 차하 먼 데 사람은 소리를 듣고서 차하 옆에 사람은 구경하구랴 차하 남문을 열고서 바래를 치니께 차하 계명산천이 밝아 온단다 차하 천근 망깨는 중천에 놀고서 차하 열 두자 말목은 용왕국 가노라 차하 줄 많이 땅기면 상금을 주고서 차하 줄 아니 땅기면 벌금을 낸단다 차하 어이야라차하 차하 노자 노자 젊어 노자 차하 늙고 병들면 못 노니라 차하 층암 절벽에 떨어져 살아도 차하 임 떨어지고는 못 사리로다 차하 산개여목은 까막 눈 멀고 차하 노류장화는 인개가절가1) 차하 저게 가는 저 할마씨 차하 딸이나 있으면 사우나 삼으소 차하 딸이사 있건마는 차하 나이 어려서 못 보겠소 어이야라차하 차하 청천 하늘에 빌도 많고서 차하 이내 가슴에 수심도 많단다 차하 세상 공명 부운이라 차하 강호 어옹될지어다2) 차하 일억토정 걸리져서 차하 순류로3) 나려가니 차하 청풍은 서래하고4) 차하 수파는 불흥이로다5) 차하 어이랴라차하 차하 은인옥척6) 펄펖 뛰고 차하 백구 편편 날아 든다 차하 석양점촌 양삼가에7) 차하 저녁 연기 일어나고 차하 반조입강 반석조에8) 차하 새 거울을 걸었난듯 차하 창랑가9) 반겨 듣고 차하 소래 좇아 나려 가니 차하 어이야라차하 차하 금능탄 여울물에 차하 어이야라차하 1) 노류장화는 인개가절(路柳墻花-人皆可切) : 길 가의 버들과 담장 밑의 꽃은 누구라도 꺽을 수 있음. 2) 강호어옹(江湖漁翁) : 강과 호수의 고기 잡는 노인. 3) 순류(順流) : 물이 흐르는 족으로 쫓음. 4) 청풍서래(淸風徐來) : 맑은 바람이 천천히 불어 옴. 5) 수파불흥(水波不興) : 물결이 일지 않음. 6) 은인옥척→은린옥척(銀鱗玉尺) : 모양이 좋고 큰 물고기. 7) 석양점촌 양삼가(夕陽點村兩三家) : 해질 녘 몇몇 마을의 두세집. 8) 반조입강 반석조(返照入江返夕照) : 저녁 햇빛이 강에 비쳐 불그레한 저녁빛을 되비침. 9) 창랑가(滄浪歌) : 굴원(屈原)의 어부사(漁夫辭)를 일컫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