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과부신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양군 함양읍 죽림리 시목의 삼삼는소리-과부신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옥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옥남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죽림리 시목은 감 시자에 나무 목자를 쓰며, 마을 위에 있는 샘에서 좋은 돌감나무가 났기 때문에 시목이라고 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현재도 감나무는 상당히 많으며, 다른 이름으로는 감나무골이라고 한다. 마을까지 버스는 들어오지 않고 마을 앞 국도에서 교통편을 이용한다. 마을 뒤로 삼봉산이 있고 마을 앞으로 오봉산이 있으며, 마을 앞으로는 맑은 시내가 흐르고 있다. 가장 먼저 마을을 이룬 것은 파평 윤씨 집안이었으며, 김해 김씨가 이어서 들어 왔으나 현재는 각성이 어울려 살고 있다. 23호 정도에 100여명의 인구이다. 논농사가 중심이며, 밭농사는 콩과 팥, 고추 등을 재배하고 있다. 이 외에 감자와 곶감도 생산한다. 이전에는 정월 대보름에 당산제를 지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3월 10일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면(함양읍) 죽림리 시목에서 채집한 과부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옥남이 참여하였다. 일년 열두달을 나열하는 달거리 형식에 임 그리는 내용을 담아 부른 노래이다. 길쌈을 하거나 심심할 때 부르는 노래라고 가창자는 말한다. 원곡명: 달거리 |
가사 | 뱅자년 동짓달에 부부간에 깊이 든 잠 싫은듯이 이별하고
섣달이라 그뭄날은 집집마다 음식한데 우런 님은 어디 가고 돌아오실 줄 모르시나 정월이라 초하룻날 헌 옷 싹싹 벗어 놓고 새옷 싹싹 갈아 입고 집집마다 세배한데 우런 님은 어디 가고 세배하실 줄 모르시나 이월이라 한식날은 산소마다 사토한데 우런 님은 어디를 가고 사토하실 줄 모르시나 삼월이라 삼짓날은 강남아 연자새끼 나온다꼬 선심한데 우런 님은 어디를 가고 다시 올 줄 모르시나 사월이라 초파일날 절간마다 만등 단데 우런 님은 어디를 가고 만등 달 줄 모르시나 오월이라 단옷날은 청실홍실 군대1) 매여 청춘남녀 짝을 지여 추천하는2) 명절인데 우런 님은 어디를 가고 추천하잔 말 어이 없어 유월이라 유딧날은 청태산 깊은 물에 모욕하자 한다마는 우런 님은 어디를 가고 모욕 가잔 말 어이 없어 칠월이라 칠석날은 하늘에 견우 직녀 일년에 한 변씩 만나여서 만득수작을3) 한다마는 우런 님은 어디를 가고 십 년만에 한 변도 안 오시나 팔월이라 한가윗날 오만 곡석 신리한데4) 우런 님은 어디를 가고 신리하잔 말 어이 없어 구월이라 구일날은 강남아 서기러기 나온다고 선심한데 우런 님은 어디 가고 집 찾아올 줄을 모르시나 시월이라 상달에는 덩치 없는 허사로다 얼씨구 좋아 절씨구 좋아 이 청춘 한 평상 홀로 살자 1) 군대→그네 2) 추천하는 : 그네 뛰는. 3) 만득수작→만단수작(萬端酬酌) : 온갖 수작. 수작은 말을 주고 받음이라는 뜻. 4) 신리→심리(審理) 한가위를 전후해서 잘 익은 벼, 수수, 조 등 곡식의 이삭을 한 줌 묶어 기둥이나 대문 위에 걸어 두고, 다음해에 풍년이 들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풍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