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부모죽은 편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양군 안의면 황곡리 신당의 밭매는소리-부모죽은 편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삼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고삼분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황곡리 신당은 일반적으로 새마을 부락이라고 불린다. 마을까지 들어 오는 버스는 없고 15분 정도 걸어가서 황마산 도로까지 가서 차를 타는데, 거창가는 버스가 하루에 세 차례 있다. 동래 정씨가 가장 대성이며 함양 박씨가 다음으로 많다. 60여 가구에 120명 정도의 인구로 논농사를 주로 하며 비닐 하우스를 조금씩 한다. 정월 보름날 밤 12시에 부락에서 유사를 뽑아 당산제를 지내고 있으며, 바람올리기는 각 가정에서 2월 초하루에 올리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3월 13일에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황곡리 신당에서 채집한 부모죽은 편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삼분이 참여하였다. 밭을 매면서 혼자 부르던 노래이다. 어머니의 부고를 듣고 친정으로 가서 통곡하는 딸의 ㅁ습이 그려져 있다. |
가사 | 불꽃겉이 더우나 날에 배꽃 겉은 밭츨 매어
한 골 매고 두 골을 매고 삼시 세 골을 매고 나니 피랭이 쓴 사람이 썩 나서네 받아 보소 받아 보소 요내 편지를 받아 보소 한 손으로 받으나 편지 두 손으로 피여 보니 모친 죽은 부고로다 한 모랭이를 썩 돌아 서니 까마구 깐치가 진동을 하고 두 모랭이를 돌아나 서니 곡소리가 진동하네 출개 이운 딸이지마는 어찌 이리도 허망하노 같이 아들도 기루고 딸도 기라 주신 우리나 어머이 딸이라고 종신도 아니 몬 시깄소 어머이 어머이 우리나 어머이 이리 가도 어머이 어머이 어머이 말 소리를 들을라꼬 무덤 곳을 가 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