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진주낭군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양군 안의면 황곡리 신당의 진주낭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두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두연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황곡리 신당은 일반적으로 새마을 부락이라고 불린다. 마을까지 들어 오는 버스는 없고 15분 정도 걸어가서 황마산 도로까지 가서 차를 타는데, 거창가는 버스가 하루에 세 차례 있다. 동래 정씨가 가장 대성이며 함양 박씨가 다음으로 많다. 60여 가구에 120명 정도의 인구로 논농사를 주로 하며 비닐 하우스를 조금씩 한다. 정월 보름날 밤 12시에 부락에서 유사를 뽑아 당산제를 지내고 있으며, 바람올리기는 각 가정에서 2월 초하루에 올리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3월 13일에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황곡리 신당에서 채집한 진주낭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두연이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시집 어른들에게 야단을 맞고 나면 콩밭을 매러 가서 신세 한탄을 하면서 불렀다고 한다. 이 곡은 전해져 오는 진주 난봉가와 거의 흡사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남지역에 널리 퍼져있는 노래이다. 원곡명: 시집살이노래이다. 시집을 배경으로하고 있으나 내용상 남편의 외도로인한 부부갈등이 주제다. |
가사 | 에-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접 십삼 년을 살고 나니
시어머니 하는 말씀 아가아가 며늘아가 진주 남강에 빨래를 가라 진주 남강 발래를 가니 물도 좋고 돌도 좋와 오동통통 뚜디리니 삼각산 겉은 갓을 씨고 구름 겉은 말을 타고 서울 갔던 낭군님이 못 본 듯이만 지내치네 껌은 발래 껌게 씻고 흰 빨래 희게 씻고 집이라고 찾어오니 시오마씨 하는 말씀 아가아가 며눌아가 아랫방에 니러가서 아랫방 문을 열고 봐라 아랫방에 니러가서 아랫방 문을 열고 보니 기생첩을 옆에 두고 열두 가지 술을 놓아 죽고 못 살아서 힘을 씨네 웃방에라 올라와서 석자 수건 목을 잘라 죽기만 힘을 씨니 아랫방에 낭군님이 보선발로 뛰어 올라 기생첩은 삼년이요 본처는 백년이라 얼씨고 절씨고이 살아 보세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