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외촌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한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한준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외촌은 잿 성자에 묏 산자를 쓰며, 산 위에 성터가 있다. 면소재지인 내촌과 평야 지역인 외촌으로 형성되어 있다. 옥두봉, 부지기산 등이 둘러 있다. 항상 시외버스가 다니기 때문에 교통에 불편은 없다. 문화 유씨가 가장 많고 원래 마을을 형성했다고 한다. 이 외에 합천 이씨, 밀양 박씨 등이 있다. 100여호에 300여명의 인구로 면사무소가 가깝기 때문에 인구가 많은 편이며, 쌍책 국민학교와 중학교가 있다. 산업으로는 논농사가 대부분이며 딸기와 수박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농사가 주 수입원이다. 3월 3일 새벽 5시경에 당산제를 올리고, 바람올리기가 아직도 성행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1월 11일에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외촌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한준이 참여하였다. 시골 장터에서 각설이들이 구걸을 하기 위해 부르던 노래지만, 요즈음은 모여 놀면서 부르는 노래로 인기가 높다. 투전뒤풀이 부분에서 다른 각설이타령과 달리 명절 풍습을 열거하는 특징이 있다. |
가사 | 들어왔네 들어왔네
각설이가 들어왔네 작년에 왔던 각설이 죽지도 않고 또 왔네 어허 이 놈이 이래도 정승판사 장남으로 팔도 감사 마다 하고 돈 한푼에 팔려서 각설이로만 나섰네 지리고 지리고 잘도 한다 품마 품마도 잘도 한다 니 선생이 누구신지 니보다도 잘 한다 시전 서전을 읽었는가 유식하기도 잘 한다 논어 맹자를 읽었는가 다무다문 잘 한다 지리고 지리고 잘도 한다 품마 품마도 잘도 한다 냉수 동이나 먹었는가 시근시근 잘 한다 뜨물 동이나 먹었는가 걸찍걸찍 잘 한다 지름 동이나 먹었는가 미끌미끌 잘 한다 지리고 지리고 잘도 한다 품마 품마도 잘도 한다 허허 이놈이 이래도 하루 장만 빠지만 겨울살이를 벗는다 지리고 지리고 잘도 한다 품마도 품마도 잘도 한다 앉은 고리는 동고리1) 선고리는 문고리 뛰는 고리는 개고리 나는 고리는 끼꼬리 입는 고리는 저고리다 지리고 지리고 잘도 한다 품마 품마도 잘도 한다 한 발 가진 짝귀2) 두 발 가진 까마귀 시 발 가진 통노귀3) 니 발 가진 당나귀 먹는 귀는 아귀다 지리고 지리고 잘 한다 품마 품마도 잘도 한다 일자로 한장 들고 보니 일핀에 단심에 먹은 마음 죽으믄 죽었지 못 잊겠네 이자로 한장 들고 보니 이수중분 백곡들에 백호4) 한 쌍이 날아든다 삼자로 한장을 들고 보니 삼월이라 삼짓날 제비 새끼가 날아든다 지리고 지리고 잘도 한다 품마 품마도 잘도 한다 사자로 한장 들고 보니 사월이라 초파일에 관등놀이가 좋을시고 지리고 지리고 잘도 한다 품마 품마 잘도 한다 오자로 한장 들고 보니 오월이라 단오날에 처녀총각이 한데 모여 추천에 놀이가 좋을시고 육자로 한장 들고 보니 유월이라 유딧날에 탁주놀이가 좋을시고 칠자로 한장 들고 보니 칠월이라 칠석날에 긴우직녀가 좋을시고 지리고 지리고도 잘도 한다 품마 품마도 잘도 한다 팔자로 한장을 들고 보니 팔월이라 한가웃 날 올래5) 송편이 좋을시고 구자로 한장 들고 보니 구월이라 구일날에 국화주가 좋을시고 십자로 한장 들고 보니 시월이라 상달인데 고사 사당이 좋을시고 지리고 지리고 잘도 한다 품마 품마도 잘도 한다 백자로 한 장을 들고 보니 백만 장안 억만간에6) 태핑가가7) 좋을시고 만자로 한장을 들고 보니 만세 만세 우리나라 국태민안이8) 좋을시고 억자로 한장을 들고 보니 억조창생9)만민들아 함포고복10) 좋을시고 지리고 지리고 잘도 한다 품마 품마도 잘도 한다 1) 동고리;버들로 둥글납작하게 만든 작은 고리 2) 짝귀→깍귀. 나무 깍는 도구. 망치 모양에 날이 달렸다. 3) 통노귀;작은 노구솥. 노구솥은 운반이 가능한, 다리 세 개가 달린 솥. 4) 백로(白鷺) 5) 올래→오려;올벼 6) 억만간→억만가(億萬家);수 많은 집 7) 태핑가→태평가(太平歌);태평성대를 노래함 8) 국태민안(國泰民安);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살기가 편안함 9) 억조창생(億兆蒼生);수 많은 백성 10) 함포고복(含哺鼓腹);잔뜩 먹어서 배를 두드리며 즐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