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누에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외촌의 누에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한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한준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외촌은 잿 성자에 묏 산자를 쓰며, 산 위에 성터가 있다. 면소재지인 내촌과 평야 지역인 외촌으로 형성되어 있다. 옥두봉, 부지기산 등이 둘러 있다. 항상 시외버스가 다니기 때문에 교통에 불편은 없다. 문화 유씨가 가장 많고 원래 마을을 형성했다고 한다. 이 외에 합천 이씨, 밀양 박씨 등이 있다. 100여호에 300여명의 인구로 면사무소가 가깝기 때문에 인구가 많은 편이며, 쌍책 국민학교와 중학교가 있다. 산업으로는 논농사가 대부분이며 딸기와 수박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농사가 주 수입원이다. 3월 3일 새벽 5시경에 당산제를 올리고, 바람올리기가 아직도 성행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1월 11일에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외촌에서 채집한 누에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한준이 참여하였다. 물레질을 하면서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불렀다는 노래이다. 누에를 키우고 실을 뽑아 베를 짜고 옷을 짓는 과정이 묘사되어 있다. |
가사 | 김생완 죽은 넋이 한 쌍에 나비되야
칠백띠 일대장에1) 알을 실어2) 달구털로 씰어 모아 침산에3) 뽕을 숨거 낱낱이 따다 놓고 은장도 드는 칼로 충청도 가는 도매 아목자목4) 썽거리서5) 이리 저리 흐쳐주니 그 뉘비6) 먹는소리 천상에 비 온 듯고 애기잠 자고 이잠 자고 한 잠 자고 꿈을 꾸니 천상에 높이 올라 인간에 귀한 일을 무엇으로 대적할꼬 산천 지리 단지 솥 걸어 놓고 청맹수에7) 실을 뽑아 옥비틀에 베를 짜서 은하수에 씪어다가 만대산 돌에다 따듬어서 도복 비고 직링8) 비고 다문 석 자 남았더니 이 내 적삼을 비어 노리 짓도 없고 섶도 없네 맨드래미 짓을 달고 봉숭아꽃을 섶을 달아 입자 하니 때가 묻고 개자 하니 살이 지고 용두줄에다 걸어서 놓고 들민 보고 날민 보고 눈살에 받쳐서 다 떨어졌네 1) 칠백띠 일대방; 누에틀? 2) 실어→슬어 3) 침산;제보자는 얕은 산, 언덕배기라 함 4) 아목자목→오목조목 5) 썽거리서→썰어서 6) 뉘비→누에 7) 청맹수→청명수(淸明水);아주 맑은 물 8) 직링→직령(直領);무관(武官)의 웃옷의 한 가지. 깃이 곱게 되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