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줌치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외촌의 줌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한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한준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외촌은 잿 성자에 묏 산자를 쓰며, 산 위에 성터가 있다. 면소재지인 내촌과 평야 지역인 외촌으로 형성되어 있다. 옥두봉, 부지기산 등이 둘러 있다. 항상 시외버스가 다니기 때문에 교통에 불편은 없다. 문화 유씨가 가장 많고 원래 마을을 형성했다고 한다. 이 외에 합천 이씨, 밀양 박씨 등이 있다. 100여호에 300여명의 인구로 면사무소가 가깝기 때문에 인구가 많은 편이며, 쌍책 국민학교와 중학교가 있다. 산업으로는 논농사가 대부분이며 딸기와 수박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농사가 주 수입원이다. 3월 3일 새벽 5시경에 당산제를 올리고, 바람올리기가 아직도 성행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1월 11일에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외촌에서 채집한 줌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한준이 참여하였다. 허리에 차고 다니는 줌치(주머니)를 소재로 한 노래이다. 예전에는 흔히 주머니를 보고 만든 처녀의 솜씨를 판단하는 풍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무들끼리 모였을 때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몰개나무 아적 저녁 물을 조아 삼정승 물을 조와
육판사 가지 벌어 팔도강산 꽃이 피어 한 가지는 해가 열고 한 가지는 달이 열고 해를 따서 안을 받쳐 달을 따서 겉을 받쳐 줌치를 집어 놓으니 대구 팔사 끈을 달아 아무데도 걸지 말고 서울 가는 길로에라 걸어 주소 올라가는 구관 사또 니리오는 신관 사또 오만 구경을 고만 하고 줌치 구경을 하고 가소 줌치야 잘 지었건만 누 딸이 집었는고 좌수 길러 딸이로세 보고 가마 보고 가마 공공 시기를 보고 가마 공공 시기 볼라다가 물밍지 홑두루막 오록조록 다 째였네 벗어 주소 벗어 주소 본색겉이 새기 주리 니가 얼마 잘 새긴들 본색겉이 새기 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