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지신밝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합천군 용주면 내가1리의 지신밟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류철원 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앞소리/류철원 |
지역개관 | 경상남도 합천군 용주면 내가1리는 안 내자에 장삼 가자를 쓰며 원래는 아름다울 가자에 호수 호자를 쓴 가호리 마을이었다. 일제때 일본인들이 마을의 생김새가 중의 가사처럼 생겼다고 해서 쓰기 시작한 것이 내가마을이라고 한다. 하루에 세 번 버스가 마을까지 들어 오고, 마을 앞으로 지나는 국도로 시간마다 버스가 다닌다. 진주 유씨 집성촌이며 이씨와 정씨 등이 소수 있다. 130여호에 500여명의 인구이다. 주로 논농사이며 밭에서는 집에서 먹기 위한 콩이나 팥 등을 재배한다. 민속놀이는 현재 전혀 행해지지 않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3월 20일에 경상남도 합천군 용주면 내가1리에서 채집한 지신밟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류철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정초에 동네의 복록과 사람들의 안녕을 기원하는 지신밟기 때 하는소리다. 노랫말은 자손이 성공하라는 과거풀이, 곡식이 잘 되라는 농사풀이를 포함하고 있다. |
가사 | ( 풍물연주 )
지신아 소롱산 나룽에 용머리 터를 딲아 입 구짜 집을 지어 몸채도 오 칸에 행랑도 오 칸에 두 집은 열두 칸 그것도 그러니와 유씨녘1) 대주가 이 터에 들앉아 자손이 귀터라 자손을 불아 주소 아들애기 두시거등 육 형지만 점지하고 딸애기 놓시거등 형지만 점지하소 도합은 팔 남매 그것도 그러니와 강남서 나오신 대한국 손님네 도리점 낙점에 한 점만 점지하소 그것도 그러니와 한 책에 공부시켜 서책을 품에 품고 서울이라 올라가서 장중에 들어가니 글씨가 걸렸네 무슨 글씨 걸렸노 그거를 살피 보니 자자에 비점이요 귀귀마다 관주로다 용연에 먹을 갈아 강음에 붓을 풀어 조맹부 체를 받아 왕희지 필적으로 일필로 휘지하야 장중에 선장하니2) 잠시관3) 부시관 그거를 살피 보고 부르나니 실로이 전하께 들어가서 전하께 재배하고 어금삼주4) 먹은 후에 우수에 홍패요 좌수에 옥결이라5) 이러한 이력도 부모에 영화요 그것도 그러니와 유씨녘 대주가 이 터에 들앉아 농사가 귀터라 농사를 불아 주소 앞에는 논 사고 뒤에는 밭 사고 앞에는 소 매고 뒤에는 말 매고 일년 가 열 두 달 가년6) 가 열 석 달 올 농사 지어 내여 한 가지 흔들거등 여러 만석 쏟아지소 합천아 십 칠 면 군중아 모으라 어기어차 귓나무 어기어차 모여다가 앞에는 앞 노적 뒤에는 뒷 노적 구진 노적 사 노적 덩그렇게 괴어 놓고 우에 섬 나우 나고7) 밑에 섬 싹 나서 그것도 그러니와 유씨녘 대주가 동서남북 다 지나마 넘우 눈에 꽃이 되고 남우 눈에 잎이 되소 그것도 그러니와 농지기 섣지기 오뉴월 세 삼베 내 놓고 들이 놔도 아니나마 탈 말고 탈이 나마 닮아소 그것도 그러니와 눈 큰 넘 발 큰 넘 물 알로 헤어지고 잡귀야 잡신은 물 알로 헤어지소 그것도 그러니와 이 굿을 하고 나면 성주님도 좋아 하고 조왕님도 춤을 춘다 이만하만 넉넉지 (풍물 계속 ) 1) 유씨녘;집 주인의 성씨가 유씨임을 이렇게 표현한 것임 2) 선장(先場) : 옛날 과거 때 문과 장중(場中)에서 가장 먼저 글장을 바치던 것, 또는 그 순간. 3) 잠시관;장시관(長試官), 즉 우두머리가 되는 시관이란 뜻으로 쓴 말인 듯 4) 어금삼주;어권삼주(御勸三酒), 즉 임금이 권하는 석 잔의 술이란 뜻인 듯 5) 옥결;옥으로 만든 패물을 말하는 듯 6) 가년→과년 ; 윤달이 들어있는 해 7) 나우 나고 : 나비가 생기고, 즉벼가 많아 오래 묵혀 두니 거기서 벌레가 슬어 나비가 생기고란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