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대구시 동구 평광동 택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송문창, 우제천 외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송문창, 나/우제천 외 |
지역개관 |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평광동 택리는 원래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이었으나, 20여년전 대구로 편입되었다. 대구의 오지로 불릴 만큼 외진 마을이다. 마을은 각성바지로 40여 가구가 거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22일에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평광동 택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송문창, 우제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현지 명칭은 모노래 또는 모심기 소리이다. 사설의 형식은 모찌기와 유사하나 1음보는 3, 4, 5자로 자유스럽게 구성되어 있다. 가창방식은 앞소리는 독창이고, 뒷소리는 제창방식으로 하며 첫 구절을 어떤 사설로 시작하느냐에 따라서 뒷소리의 사설이 달라진다. 이 마을에서는 모를 심을 때 품앗이로 보통 15-30명 정도 모를 심었고, 남녀가 섞여서 모심기를 하였다. |
가사 | 가 : 이 물꼬 저 물꼬 다 헐어놓고 쥔네 양반 어디 갔노
나 : 문애야 대전북1) 손에 들고 첩으 방에 놀러 갔네 가 : 첩으 집은 꽃밭이요 이네야 집은 연못이라 나 : 꽃과 나비는 봄 한철이요 연못에 금붕어 사철이라 가 : 이 논빼미 서마지기 모를 심아 정자로다 나 : 우리야 부모님 산소 등에 솔을 심아 정자로다 가 : 이 논빼미 서마지기 반달 같이도 떠나가네 나 : 지가 무슨 반달이요 초생달이 반달이지 1) 문애야 대전북 : 문어와 전복. 옛날에는 문어와 전복은 몸보신에 좋은 귀한 식품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