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보리타작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대구시 동구 평광동 택리의 보리타작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송문창, 우제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송문창, 후창/우제천 외 |
지역개관 |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평광동 택리는 원래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이었으나, 20여년전 대구로 편입되었다. 대구의 오지로 불릴 만큼 외진 마을이다. 마을은 각성바지로 40여 가구가 거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25일에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평광동 택리에서 채집한 보리타작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송문창, 우제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보리를 깔아 놓고 보리이삭을 터는 작업때 불려지는 노래이다. 보리타작에는 소리없이 도리깨를 내려치면 일손이 맞지 않을 뿐아니라 무료하기조차 하다. 이때 여러 명의 타작꾼 중에서 힘이 좋고 도리깨질을 잘하는 목도리깨가 보리이삭을 두드리고 삐쳐서 엎으면서 선도해 가고 종도리깨꾼들이 엎어진 보리 이삭을 두드리면 작업능률이 좋아진다. 사설형식은 메김소리와 받는 소리가 1음보씩 주고받는다. 이 노래는 마당에 집단을 깔고 직접 도리깨질을 하면서 부른 실황 녹음이다. 노래의 후렴 부분이 경상북도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옹헤야 헤에 헤에 옹헤야로 변형되어 있다. |
가사 | 응헤야
응헤야 여기 보소 응헤야 꼴찌1) 밑에 응헤야 이 보리 보소 응헤야 양반에 보리가 응헤야 시염도2) 지다 (다같이 ) 응헤야 헤에 헤에 응헤야 버리밭에 응헤야 깨고리가 응헤야 알을 놓고 응헤야 풀쩍풀쩍 응헤야 잘도 뛴다 응헤야 어 잘하네 (다같이 ) 응헤야 헤에 헤에 응헤야 해는 지고 옹헤야 저문 날에 옹헤야 목도 말라 응헤야 숨도 차고 응헤야 한잔 묵고 응헤야 하여 볼까 응헤야 두잔 묵고 응헤야 하여 보세 (다같이 ) 응헤야 헤에 헤에 옹헤야 동해동산 응헤야 돋은 해난 응헤야 일락서산 응헤야 넘어간다 (다같이 ) 응헤야 헤에 헤에 응헤야 여기 보소 응헤야 때려라 허이 허이 허이 허어 허이 허이 허이 허이 후린다 허이 잘한다 허이 넘어간다 허이 허이 허이 응헤야 응헤야 잘도 하네 응헤야 꼴찌 밑에 응헤야 이 보리 보소 응헤야 종놈에 보리가 응헤야 몽글몽글 응헤야 똥그랐다 응헤야 어 잘한다 (다같이 ) 응헤야 헤헤 헤에 응헤야 깨구리가 응헤야 버리밭을 응헤야 풀을 하야 응헤야 왕래하고 응헤야 해는 지고 응헤야 날 저문데 응헤야 한마당을 응헤야 빨리 하자 응헤야 때리보소 응헤야 때려랴 허이 허이 허이 잘한다 허이 허이 허이 응헤야 응헤야 어 잘한다 응헤야 자 잘하네 응헤야 우리 일꾼 응헤야 한잔 묵어라 응헤야 때리보소 응헤야 여기보소 (다같이 ) 응헤야 헤에 헤에 응헤야 하 잘한다 응헤야 한잔 묵고 응헤야 하여 볼까 응헤야 두잔 묵고 응헤야 하여 볼까 응헤야 때리보소 응헤야 꼴찌 밑에 응헤야 풍년이다 응헤야 여게 때리라 응헤야 허이 허이 허 잘한다 허이 잘한다 허이 때려라 허이 허이 허이 응헤야 응헤야 그럭저럭 응헤야 한마당을 응헤야 다 했구나 응헤야 여기 보소 응헤야 마즈막 응헤야 한단 나간다 응헤야 요게 때려라 허이 허이 허이 허이 허이 자 자 1) 꼴찌 : 도리깨 채가 돌아가는 부분의 부속품 이름. 2) 시염 : 수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