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대구시 동구 평광동 택리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송문창, 우제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송문창, 후창/우제천 외 |
지역개관 |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평광동 택리는 원래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이었으나, 20여년전 대구로 편입되었다. 대구의 오지로 불릴 만큼 외진 마을이다. 마을은 각성바지로 40여 가구가 거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22일에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평광동 택리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송문창, 우제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선창자가 북으로 연타한 후 다같이 자!라는 함성과 함께 상여를 들고 어홍 어홍 어호야 어홍으로 제자리에서 발을 맞추고 서서히 출발한다. 좁은 길을 갈 때 어여차란 자진소리를 하며, 극락다리를 건널 때는 염불소리를 부른다. 그리고 오르막을 오를 때는 오호 시용소리를 한다. |
가사 | (후렴 1) 오홍 오홍 오호야 오홍
(후렴 2) 에헤 헤헤이 어하넘차 오홍 오홍 오홍 오호야 오홍 (후렴 1) 간다 간다 나는 간다 북망산천을 나는 가네 (후렴 1) 서른 두명 상두꾼들 눈물 가려서 못 가겠네 (후렴 2) 백년집을 이별하고 만년집을 찾어가네 (후렴 1) 황천길이 멀다더니 대문 밖이 황천이네 (후렴 1) 빈 손으로 태어나서 빈 손으로 돌아가네 (후렴 2) 초롱 같은 우리야 인생 이슬 같이도 떨어지네 (후렴 1) 인지 가면 언지 올꼬 한 번 가며는 못 온다네 (후렴 1) 북망산천이 얼마나 멀어 한 번 가며는 못 오던고 (후렴 2) 활장 같은 굽은 길에 곱게 곱게나 모시 가자 (후렴 1) 열두대왕 문을 열어 날 오라고 재촉하네 (후렴 1) 하늘님도 무심하고 대왕님도 야속하다 (후렴 2) <좁은 길을 가면서> (후렴) 어여차 어여차 / 조심하소 질이 좁다 / 조심하소 한 살 묵어 / 아배 잃고 두 살 묵어 / 엄마 잃어 이구 십팔 / 열여덟에 첫 장개라 / 갈라 하니 앞집 가여 / 궁합 보고 뒷집 가여 / 책력 받아 책력 봐도 / 못 갈 장가 궁합 봐도 / 못 갈 장가 한 모롱이 / 돌아가니 까막깐치 / 지지 울고 두 모롱이 / 돌아가니 야시 새끼1) / 쾡쾡 우네 저게 가는 / 상반님요2) 밀양삼당 / 가시거든 편지 일매 / 전합시다 한 손으로 / 주는 편지 두 손으로 / 피여 보니 신부 죽은 / 부골래라 꽃가마는 / 어들 가고 황천길이 / 무삼 말고 “자, 극락다리 왔심다” <외나무다리 건너면서> (후렴)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극락다리 건날라니 극락노자를 내라 하네 상주님요 백관님요 극락노자를 걸어주소 극락노자를 걸었거던 극락다리를 건너가세 이 다리를 건너가면 언제 한 번 돌아올꼬 어린 시절 내 친구여 부데 부데 오래 사소 북망길을 나는 간다 <오르막 오르면서> “자, 다 왔심다 극락다리는. 팔부능선 올라갑니다.” (후렴) 오호호시용 호호호시용 팔부능선 올러가자 힘을 내어 올러가세 우렁차고 어이 좋다 이 능선을 올라오니 경치 좋고 방석 좋네 대명산이 분명하다 만년집을 찾아오니 경치 좋고 방석 좋아 한봉에다 다 올랐다 “자 놓고! 어허어 어어!” 1)야시 새끼: 여우 새끼. 상반님: 상제, 장가갈 때 신랑과 같이 가는 웃어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