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보리타작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대구시 북구 관음1동의 보리타작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태원, 최종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이태원, 후창/최종탁 외 |
지역개관 | 경상북도 대구시 북구 관음1동은 과거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면의 농촌지역이었으나 1981년 대구직할시 승격과 함께 대구에 편입되어 대규모 아파트단지로 개발되고 있는 곳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4일에 경상북도 대구시 북구 관음1동에서 채집한 보리베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태원, 최종탁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뒷소리를 “오홍헤야”로 부르는 것이 특징인데, 선창자에 의하면 이는 도리깨를 공중에서 한번 돌리고 내리쳤기 때문에라고 한다. 사설은 사친가의 열두달 노래 중에서 사월달 대목을 가지고 노래했다.사월이 되어 날이 따뜻해졌으니 즐겁다는 내용이다. 한문표현이 많이 있어서 경상북도의 한문 숭상의 전통을 짐작하게 해준다. 가창자들이 옛날 기분을 느끼면서 노래하기 위해 신문지를 말아서 방바닥을 두드리며 노래하였다. |
가사 | 오홍헤야
오홍헤야 헤야소리 오홍헤야 잘도 한다 오홍헤야 사월이라 오홍헤야 초파일이 오홍헤야 남풍이 오홍헤야 훈이하니1) 오홍헤야 해오민이2) 오홍헤야 옥해로다 오홍헤야 삼각산 오홍헤야 칠봉에 오홍헤야 봉학이 앉아 오홍헤야 춤을 춘다 오홍헤야 한강수 오홍헤야 깊은 물에 오홍헤야 하도낙서 오홍헤야 난단말가 오홍헤야 백공상화 오홍헤야 경성 갈 일 오홍헤야 오늘이야 오홍헤야 본이로다 오홍헤야 요지일을3) 오홍헤야 순지건곤4) 오홍헤야 태평성인 오홍헤야 이 아닌강 오홍헤야 만사인간 오홍헤야 저문 날에 오홍헤야 탁이야행 오홍헤야 아해들은 오홍헤야 만고지상 오홍헤야 우지 마라 오홍헤야 황금 갑옷 오홍헤야 떨쳐 입고 오홍헤야 시유여로5) 오홍헤야 들어가니 오홍헤야 장간만호6) 오홍헤야 들어가여 오홍헤야 사노만세 오홍헤야 하는구나 오홍헤야 1) 훈이하니 : 훈훈하니. 2) 해오민 : 제보자는 온백성을 뜻한다고 함. 3) 요지일을 : 요지일월(堯之日月). 4) 순지건곤 : 순지건곤(舜之乾坤). 순임금때 태평세상. 5) 시유여로 : 제보자는 좋은 곳을 뜻한다고 함. 6) 장간만호 : 장안만호(長安萬戶).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