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가래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달성군 하빈면 현내2리의 가래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종환, 조용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김종환, 나/조용석 외 |
지역개관 |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현내2리는 신라 말에 하빈현청이 있었으며 옛날에는 대구 서문시장에 버금가는 큰 시장이 섰다고 하여 장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금은 시장이 면내의 동곡동으로 옮겼다. 마을 내에는 새마을 공장이 세워져 주민소득향상에 도움을 주며 마을 앞에는 기름진 하빈들이 펼쳐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18일에 경상북도 대구시 달성군 하빈면 현내2리에서 채집한 가래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종환, 조용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은 낙동강이 자주 범람해서 방천둑을 자주 만들어야 하므로 가래소리가 발달했다. 가래는 2명 또는 4명이 줄을 잡아당기며 뒷소리를 하고 자루를 잡은 사람은 선소리꾼(가래장군)이라 한다. |
가사 | <진가래소리>
오호 가래여 오호 가래여 이 가래가 누 가랜공 오호 가래여 강태공의 조작인강 오호 가래여 청춘홍안 어디 가고 오호 가래여 백발 겉이 늙은 놈이 오호 가래여 무삼 일로 이카는공 오호 가래여 가자카니 기운없어 오호 가래여 땡기자카니 기운없고 오호 가래여 한 시월 이카다가 오호 가래여 오는 청춘 다 보내고 오호 가래여 백발 겉이 늙은 놈이 오호 가래여 가래소리 우얀 일고 오호 가래여 못하갔네 못하겠네 오호 가래여 <짜른가래소리> 에여차 에여차 또 들어왔네 에여차 또 들어왔다 에여차 이장군은 에여차 과거부터 에여차 맹장군인데 에여차 마음대로 에여차 찡가보자 에여차야 너는 가고 (다같이 ) 헤 헤에야1) 에헤차 에여차 또 들어왔다 에여차 대들고 에여차 대난다 에여차 이장군은 에여차 박장군인가 에여차 김장군인가 에여차 너는 가고 (다같이 ) 헤 헤헤야 에여차 에여차 이장군은 에여차 과거부터 에여차 맹장군인데 에여차 발메기로2) 에여차 불끈불끈 에여차 찡가보세 에여차 너는 가고 (다같이 ) 헤 헤헤야 먼 데 사람 에여차 귀경하고 에여차 젙에 사람 에여차 일 잘 한다 에여차 발메기로 에여차 찡가 가주고 에여차 상술로3) 에여차 한잔 하자 에여차 너는 가고 (다같이 ) 헤 헤헤야 1) 이 소리는 한짐이 다 되었으니 가고, 새 사람이 오라는 신호음이다. 2) 밭메기 : 바지게(흙을 담는 지게)에 흙을 가득 담음. 3) 상술 : 상으로 주는 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