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성주굿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달성군 다사면 매곡리 왕선의 지신밟기소리-성주굿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추교범 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추교범 외 |
지역개관 | 매곡 2리는 자연촌락의 명칭으로 마느터(매너터)라고 한다. 마느터는 옛날 장수가 타고 온 말을 매어둔 곳이라 하여 매느터라고 부르던 것이 바뀐 것이라 한다. 경주 최씨와 인천 채씨가 주로 거주한다. 이외에 왕선곡, 연동 등의 자연촌락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18일에 경상북도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다사면) 매곡리 왕선에서 채집한 성주굿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추교범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굿패나 걸립패가 지신밟기를 하면서 부르는 고사소리이다. 이 소리의 사설은 1960년대에 추교범이 동화사의 스님과 함께 전해 오는 지신밟기 문서를 모아서 새로이 엮었다고 한다. 옛날의 사설은 2음부 1구절(홑지신)로 하였다고 하며 30-40년 이후부터 4음부 1구절(겹지신)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
가사 | 선천지 후천지야 천하대지 호공하라
산지조종 곤룡산이요1) 수지조종 황해수라2) 곤룡산 일지맥에 조선국이 생길 적에 경치도 좋건마는 풍경하나 더욱 조네 삼천리강산 찾아보자 명기명산 찾아가재 함경도라 백두산은 두만강이 흘러가고 황해도라 구월산은 흥왕강이 둘러샀네 전라도라 지리산은 금오금강 둘러앉아 경상도라 태백산은 낙동강에 우여쌓여 성주로 모시보자 이집 성주로 모시보재 성주님이 재간 받아 용허하나 뿌려가주 살허리 같은 제비 하나 솔씨 하나 물어다가 삼천리강산 뿌려던져 그 솔이 자라날 때 경상도라 안동땅에 제비봉에 솔씨 받아 용봉산천 뿌려던져 그 솔이 점점 자라날 때 소부동이 디였구나 대부동이 디였구나 그 산천을 작화할 때 삼백여명 역꾼들은 은도꾸로 둘러메고 금도꾸로 둘러메고 소산에 올라 소목을 비고 대산에 가여 대목을 비여 이 바뿌리 바뿌리로 궁글 파여 배를 모아 이 배 모아 집어타고 손살 같이 달려오니 낙동강 유변이라 이 유변이 불명하네 그때 목수 허는 목수 새궐3) 입던 도목수를 앞집에라 김대목아 뒷집에라 이대목은 서른 두가지 연장망태 윗어깨다 둘러메고 곧은 나무 껍질 비껴 굳은 나무는 껍질 비껴 이 집터로 누가 보리 이집 집터 누가 볼꼬 대궐 짓던 도일관을4) 지남철을 손에 들고 동서남북 가리가주 좌청용을 놓아 놓고 좌청용 우백호에 용머리다 집어 차고 이 집터로 시울 적에 호박 주치5) 도리지동 양얖에 놓아가주 용의자를 얹을 적에 용의자는 학계수요 학의자는 용의수라 싸리비로 산자 엮어 와가청지를6) 지을 적에 토개와를 언져 볼까 금개와도 언져 보재이 와가청지 지었구나 청가청지 지었구나 사모에다가 핑경달아 순풍에 디리 불마 와호나 호야하네 이 집터 분명터래 은덕이요 은덕이요 성주님의 은덕이요 잡구잡귀는 물알로 가고 재수사망 이댁으로 호야 1) 곤룡산 : 곤륜산(崑崙山). 2) 황해수 : 황하수(黃河水). 3) 새궐 : 대궐. 4) 도일관 : 풍수. 5) 주치 : 주초(柱礎). 6) 와가청지 : 청기와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