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경산군 와촌면 대동리 한골의 논매는소리2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장석, 천태함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김장석, 후창/천태함 |
지역개관 | 경상북도 경산군 와촌면 대동리 한골은 큰 골짜기 아래 마을이 있다고 해서 한골, 한곡(漢谷)이라 불린다. 마을 가운데는 넓은 들이 펼쳐져 있는데 이 가운데로 박사천이 흐르고, 동쪽에 대동지가 있어서 비교적 수량이 풍부하여 농토가 비옥하다. 마을 주민들은 논농사와 복숭아, 사과농사 등을 짓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8일에 경상북도 경산시(경산군) 와천면 대동리 한골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장석, 천태함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곡은 두벌논매기 또는 세벌논매기 때에 불려지는 소리이다. 특히 세벌논매기에서는 풍물을 치면서 흥겹게 부른다. 보통 논을 맬 때에 상하 아하소리를 불렀다. 논매기의 마지막단계인 쌈싸는 작업을 할 때는 절래소리를 부르며 마무리한다. |
가사 | 상하 에에로 상하
하 상하 아이여 상사뒤여 올라간다 위여 허어 상하 상하 아으이 에헤 우야 절래 우야 절래 우야 절래 우야 절래 우야 절래 얼루얼루야 이후후후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