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사령이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경산군 와촌면 대동리 한골의 나무꾼신세타령-어사령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천태암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천태암 |
지역개관 | 경상북도 경산군 와촌면 대동리 한골은 큰 골짜기 아래 마을이 있다고 해서 한골, 한곡(漢谷)이라 불린다. 마을 가운데는 넓은 들이 펼쳐져 있는데 이 가운데로 박사천이 흐르고, 동쪽에 대동지가 있어서 비교적 수량이 풍부하여 농토가 비옥하다. 마을 주민들은 논농사와 복숭아, 사과농사 등을 짓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8일에 경상북도 경산시(경산군) 와천면 대동리 한골에서 채집한 어사령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천태암이 참여하였다. 보통 풀베는 소리나 나무꾼소리로 알려진 이 소리는 천태암의 말에 따르면 젊은 과부소리라고 한다. 어사령이라고 한다. 봄에 풀을 벤다는 것은 참나무류의 햇닢을 꺾어서 논에 거름으로 넣는 것을 말한다. |
가사 | 나비야 청산 가자
가다가 저물거든 꽃밭에라도 자고 가재이 꽃이 푸대접하거든 나잎엔따나1) 자고 가자 저 건네 저 묵밭은 거연에도 묵디만은 금년에도 또 묵었네 인부직이라2) 묵었는강 제부직이라3) 묵었는가 날과 같이 묵었구나 구야 1) 나잎엔따나 : 잎에서라도의 와음인 듯. 2) 인부직 : 인부족(人不足). 3) 제부직 : 재(才)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