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슴노래+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경산군 용성면 용천리 용천경로당의 사슴노래 · 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105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경산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경산군)용성면 용천리 용천경로당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2 , 사슴노래·이타령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경상북도 , 경북 , 경산시 , 1993 , 1995 , 사슴노래+이타령 , 이천조 , 독창 , |
실연자 | 이천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천조 |
지역개관 | 경상북도 경산군 용성면 용천리 용천경로당은 원래 자인군 하동면으로 굽어진 곳에 벌판이 있다 하여 굼벌이라 하다가 이것이 변하여 구불, 구화리라 하기도 했다. 또 구룡산 줄기 밑에 있다 하여 용호, 용천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도산리를 병합하여 용천동이라 하고 경산군 용성면에 속하게 되었다. 구전에 의하면 1400년경인 조선초기에 경주 김씨가 처음으로 비명현(飛鳴峴)에 칡덩굴을 걷고 정착하였는데 지대가 평지이며 수리시설이 좋아 근방에서 가장 큰 마을이 되었다. 하천에서 용이 승천하였다고 하여 용천(龍川)이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5일에 경상북도 경산시(경산군) 용성면 용천경로당에서 채집한 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천조가 참여하였다. 이(彛)의 형상을 빗대어 만든 노래이다. 가창자에 따르면 15세 전후에 친정 어머니와 명을 자시면서 배운 소리라고 한다. 부녀자들이 모여 길쌈을 할 때에는 별것이 다 노래의 소재가 되었다. |
가사 | 김포순강 이포순강
날 잡어다 뭐하리요 몽땅 몽땅 싸리 몽땅 뜯어먹고 사는 짐승 납닥 납닥 칠기 납닥 뜯어먹고 사는 짐승 날 잡어다 뭐하리요 옷새 이야 백단춘아 머래 이야 깜동춘아 니발이 육발이은 이리 팔팔 걸어봤나 니 등어리 납닥하마 성에 성에 집 지얼 찍에 돌 한 딩이 실어 봤나 니 조디 납닥하마 성에 성에 집 지얼 찍에 옥지 한번 불어봤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