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징검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경산군 남천면 대명1리의 징검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한태연, 허만연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한태연, 나/허만연 |
지역개관 | 경산군 남천면 대명1리는 조선 선조 무렵부터 대명(大鳴)이라 불려졌다고 하며 마을앞 숲에서 학이 동학산쪽으로 크게 울고 갔다 하여 대명리라고 하였으며, 또 지형이 대망이(이무기) 처럼 생겼다고 하여 대명리로 불렀다고도 한다. 대명리라고 하기 전에는 동학산의 끝봉우리인 전감산 끝에 청석이 누룩장 모양으로 쌓여서 누룩데이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마을 뒷산이 맥반석이 있으며 이 때문인지 장수하는 사람들이 많다. 150여호의 주민들이 살고 있으며 당제는 지내고 있지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6일에 경상북도 경산시(경산군) 남천면 대명1리에서 채집한 징검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한태연, 허만연이 참여하였다. 가창자인 허만연이 70대에 이 마을에서 듣고 배웠다는 이 노래는 경상북도 남부지역에 골고루 퍼져 있다. 빚쟁이에 시달려 몸뚱이를 잘라 팔겠다면서 몸의 각 부분을 여러 물건에 비유하고 있다. 징검이는 이 지방 말로는 민물에 사는 새우를 의미한다. |
가사 |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머리를 베다가 월자전에1)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이마를 베다가 맹건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대가리 비다가 바가치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눈섭을 빼다가 부시전에2)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눈을 빼다가 돋베기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귀를 베다가 송핀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코를 베다가 전복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이를 빼다가 자시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목을 베다가 수통전에3)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팔을 베다가 방맹이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손을 베다가 까꾸리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몸똥이 베다가 목매전에4)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배꼽을 베다가 열합전에5)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연장을 베다가 말뚝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불알을 베다가 감자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밑꿈을6) 베다가 골미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다리를 베다가 꽹이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가: 아따 여봐라 징금아 내 돈 석냥 내라 나: 내 발을 베다가 까죽신전에 팔아도 니 돈 석냥은 주꾸마 1)월자전: 머리카락을 파는 가게. 2)부시전: 세붓전. 세붓(가는 붓)을 파는 점포. 3)수통전: 물통을 파는 가게. 4)목매전: 목매(木磨)를 파는 가게. 5)열합전: 조개를 파는 가게. 6)밑꿈: 밑구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