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시집가는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경주군 산내면 내칠리 상개태의 내방가사-시집가는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손선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손선례 |
지역개관 | 경주군 산내면 내칠리 상개태 마을의 또 다른 속칭은 개태 또는 웃개태이다. 이 마을에는 각성바지로 18호 50여명이 산다. 아래윗동네가 함께 당산제를 지냈으나, 광산이 들어서면서 없어졌다. 마을은 비포장 길로 통하는 산간오지 마을이다. 마을 사람들의 인심이 순후하며 특히 부녀요가 많이 보전되어 있는 지역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5일에 경상북도 경주시(경주군) 산내면 내칠리 상개태에서 채집한 시집가는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손선례가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이 소리를 내방가사라고 하나, 내방가사의 일반적인 형식과는 달리 길이가 짧고 장절형식으로 되어 있다. 시집오는 며느리가 자신에게 가르침을 잘 주면 결코 은혜를 잊지 않겠다는 내용이다. 18세에 고향친구한테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추사같은 오봉에1) 부모형제 하직하고
석뱅난목 잦어지고2) 남방공자3) 슬피 운다 만학천봉 높은 봉은 평풍을 두린듯고 그중 그중 높은 봉은 하늘에 다다란듯 등잔불 돋와놓고 동서남북 갈아앉어 요지경에4) 먹을 갈어 순지경황5) 부테6) 들어 천만경을7) 기리 보자 후덕하신 시부모님 저로 며느리라꼬 생각지 마옵시고 질녀같이 자려내어 손목잡고 가르치 주옵시면 은혜백골 난망이로소이다 1) 추사같은 오봉 : 지명이름. 가창자 손선례 고향에 추사암과 오봉이 있다고 함. 2) 석뱅나무 잦어지고 : 가창자는 나무와 별이 꽉 차있음을 뜻한다고 함. 3) 남방공자 : 가창자는 온갖 새를 뜻한다고 함. 4) 요지경 -> 요지연 : 아주 좋은 벼루를 말함. 5) 순지경황 : 가창자는 손을 뜻한다고 함. 6) 부테 : 붓. 7) 천만경 : 온갖 경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