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시집살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경주군 양남면 하서리 진리의 시집살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문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문순 |
지역개관 | 경주군 양남면 하서리 진리 마을의 속칭은 진리인데, 그 이유는 부락으로 통하는 길이 없어 나룻배로 길을 건넜다 하여 나루 진(津), 마을 리(里)를 합하여 진리라고 부른다고 한다. 반농반어의 어촌이며, 60여 가구의 각성바지들이 산다. 신라시대 박제상의 전설이 서린 동맥바위가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3일에 경상북도 경주시(경주군) 양남면 하서리 진리에서 채집한 시집살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문순이 참여하였다. 전형적인 시집살이노래이다. 시집살이를 못견뎌 중이 되어 친정에 갔으나 반겨 맞아 줄 사람 없고, 시집에 가 보니 폭삭 망했더라는 내용이다. |
가사 | 한살 묵아 모친 죽고 두살 묵아 부친 죽고
시오시 열다섯살 묵아가니 중신애비 왔다갔다 시집이라꼬 가니까네 하늘같은 시아바시 나 작다꼬 나무래네 키 작다고 나무래네 시어마씨 거동 보소 허슬푸슬 나가면서 나 작다꼬 나무래네 키 작다꼬 나무래네 첫새벽에 일어나여 소죽 끓여 소 믹이고 말죽 끓예 말 믹이고1) 건너방에 시누부야 유리영창 햇빛 났다 세수탕에 세수하고 아직 조매 묵았두가 명태겉이 뜯을 년아 접시겉이 발릴 년아 니나 묵고 개나 줘라 사랑방에 아버님요 유리영창 햇빛 났네 세수탕에 세수하고 아직 조반 잡수시요 에라 조년 요망한 년 니나 묵고 개나 줘라 건네방에 어머님요 세수탕에 세수하고 아직 조반 잡수시요 에라 조년 요망한 년 니나 묵고 개나 줘라 서름이세 서름이세 내 하나가 서름일세 한 절로 들어가니 늙은 중은 잠을 자고 젊은 중은 신을 삼고 중아 중아 대사중아 요내머리 깎아주세 깎으무사 좋지마는 근본이 높아 못 깎을세 근본이사 높으나따나 요내 머리 깎아주세 한쪽 머리 깎고나니 친정 생각 절로 나네 한쪽 머리 마자 깎고나니 시우든2) 생각 절로 나네 중아 중아 대사중아 백팔념줄 목에 걸고 친정골을 동녕가세 동녕주소 동녕주소 동녕줄이 암도 없네 딸애기는 빨래가고 며늘애기 들일하니 동녕줄이 암도 없네 중아 중아 대사중아 시우든 골을 동녕가세 시우든 골을 동녕가니 왕대밭이 쑥대가 되고 쑥대밭이 왕대되니 동녕줄이 암도 없네 1) 믹이고 : 먹이고. 2) 시우든 : 시어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