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개비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갖고놀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령군 성산면 박곡리 박실의 방아개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순덕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순덕 |
지역개관 | 고령군 성산면 박곡리 박실 마을에는 밀양 박씨들이 많이 살았다. 그래서 속칭 박실이라고 했다. 마을은 현재 56호 내외이고, 마을은 논농사와 참외농사를 주로 한다. 마을 근처에 박곡리 고분군이 있어서 중요한 유적지로 평가된다. 이 마을에서는 여자들이 활달하다. 경상북도에서는 드물게 할머니 농악대가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2일에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박곡리 박실에서 채집한 방아개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순덕이 참여하였다. 노총각이 사십이 넘어서니 자식이 소원이었다. 마을 뒷산에서 나무를 한 짐 해 놓고 소변을 보니 폭파인 곳에 난데없는 방아깨비 한 마리가 날라 오니 “앗따 내 혈육이 왔구나”하면서 불렀다는 재미있는 노래이다. |
가사 | (“삼십되도록 노총각이 장가를 몬가서 노탄을1) 하다가, 사십이 들어서이 장가는 간곳 없고 자식이 포원이라 . 만날 근심을 하다가 .. 그러나 우야노 살기 위해서 산에 낭글하러 갔는데, 낭글 한 짐 떡 해 놓고 쉬매 또 자식이 생각키는 기라 . 그러나 소변 보고 집에 갈 밖에 없다 싶어서 소변을 주루룩 하고 나니, 소변, 거, 흙이 폭폭 파였는데, 그 게양 올도 안케 항글래비가2) 한 마리가 나 앉아 있어, 훌쩍 나매 ”)
어차 내 혈육이 왔구나 두둥둥 왔구나 접장3) 아제가 살았으마 이름자나 지을 걸 대종종에4) 알았으마 족보라도 얹질걸 다리가 질씀한 걸 보이 징조헐배 닮았네 허리가 질솜한 걸 보니 할매 할배 닮았다 이마가 훌딱 바졌는걸 보니 관청물이나 묵겠구나 할매 할배가 살았으면 미역단이나 사올걸 외할매가 살았으마 뚜디기띠라도5) 해올 걸 진주 고모가 알았으마 암죽살이6) 사올 걸 마산 이모가 알았으마 옷벌이라도 해올 걸 저 건너 동생이 알았으마 나뭇짐이나 해올걸 집 가깐 누부가 알았으마 깨한지라도 짜올걸 1) 노탄(老歎) : 늙음의 탄식. 2) 항글래비 : 방아깨비의 사투리. 3) 접장(接長) : 서당의 어른. 4) 대종종 : 종중. 5) 뚜디기띠 : 포대기 띠. 6) 암죽살 -> 암죽쌀 : 암죽 끓일 쌀. 암죽은 갓난아이가 먹게끔 끓인 묽은 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