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뚝박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토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구미시 지산동 어낙의 나무꾼신세타령-말뚝박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백남진, 박대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백남진, 후창/박대복 외 |
지역개관 | 지산동의 속칭은 발검뜰이다. 발검뜰은 칼을 빼서 준비하는 지세를 가진 뜰이 있기 때문이라 한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각성바지이다. 현재는 600세대 정도가 거주한다. 마을의 동제는 없다고 한다. 마을의 주요 생업은 들이 넓기 때문에 논농사와 밭농사를 한다. 지금은 특수작물도 많이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23일에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 어낙에서 채집한 말뚝박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백남진, 박대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저수지 둑을 쌓느라 말뚝을 박으면서 하는 소리이다. 삼각지지대에 줄을 걸어 망깨를 묶어 들어올렸다 놓아 말뚝을 박았다. 이 마을에서는 들돌이라는 자연석(170근정도)이 있어서 이걸로 망깨를 하기도 했고 나무토막으로 망깨를 하기도 했다. |
가사 | (후렴) 어여라 처허
어여라 처허 천근 망근은1) 공중에 놀고 열두자 말목은2) 땅 속에 논다 앞소릴랑 적은따나 뒷소리를 굴려주소 줄을 마차 땅겨야지 망깨 바닥이 바로 간다 먼데 사람 듣게 좋게 젙에 사람 보게 좋게 저게 가는 저 할매야 딸이나 있거든 사우나 삼게 딸이야 있다마는 나가 어레서 못 삼겠네 어여라 처허 참새가 작아도 알 많이 놓고요 제비가 작아도 강남을 가요 어여라 처허 몽끈 몽끈 땡기주소 어여라 처허 어여라 처허 1)망근은: 망깨는. 망깨는 줄에 매달아 말뚝을 내리쳐 밖는 돌. 2)말목: 말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