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오호 방아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선산군 옥성면 농소리 용시의 논매는소리-오호 방아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귀동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강귀동 외 |
지역개관 | 농소리 용시마을은 용소라고도 불리운다. 이 마을은 속칭이 용시 또는 용소이다. 과거에 물이 솟아났기 때문에 용시라고도 하고, 용이 물을 품고 있는 형국의 지세이기 때문에 영수라고도 한다. 현재 90호가 있으며, 논농사를 위주로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23일에 경상북도 구미시(선산군) 옥성면 농소리 용시에서 채집한 오호 방아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귀동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을 다 매고 집으로 돌아올 때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오호오 방아야
오호오 방아야 이 방아가 누 방안고 오호오 방아야 강태공의 조작방애1) 오호오 방아야 강태공은 어데 가고 오호오 방아야 방애 홀로 놀아나네 오호오 방아야 오호 방아야 오호오 방아야 보리를 찧면은 버리방애 오호오 방아야 쌀을 찧으면 쌀방알세 오호오 방아야 녹의홍상 미인들아 오호오 방아야 우리 벗님 어데 가고 오호오 방아야 이 방아를 모르는고 오호오 방아야 오호오 방아야 오호오 방아야 노세 좋구나 젊어 노자 오호오 방아야 늙어지면 못노나니 오호오 방아야 오호오 방아야 오호오 방아야 무정세월 가지 마라 오호오 방아야 우리 청춘 다 늙는다 오호오 방아야 나도 어지 청춘인데 오호오 방아야 오늘 백발 되었구나 오호오 방아야 검던 머리 백발되고 오호오 방아야 고운 얼굴 주름지고 오호오 방아야 이는 빠져 낙치되고 오호오 방아야 귀는 먹어 절벽일세 오호오 방아야 한 구석에 앉았으니 오호오 방아야 청춘들은 나를 보고 오호오 방아야 망령이라 숭을 보내 오호오 방아야 원통하고 절통하다 오호오 방아야 춘초는 연연록이요2) 오호오 방아야 왕손은 귀불귀라3) 오호오 방아야 우리 인생 다시 못젊나 오호오 방아야 오호오 방아야 오호오 방아야 1) 조작방애 : 강태공이 때를 기다리며 곤궁하게 살 때에, 자기 부인이 피를 가져다가 음식을 만드는 것을 보고, 조작으로 만든 방아가 조작방아라고 한다. 2) 춘초연연록(春草年年綠). 봄 풀은 해마다 푸르건마는. 3) 왕손귀불귀(王孫歸不歸). 왕손은 가고 돌아 오지 않는다. 이 구절은 왕유(王維)의 <송별(送別)> 가운데 하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