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그릇 깬 며느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선산군 옥성면 농소리 용시의 시집살이노래-그릇 깬 며느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월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월이 |
지역개관 | 농소리 용시마을은 용소라고도 불리운다. 이 마을은 속칭이 용시 또는 용소이다. 과거에 물이 솟아났기 때문에 용시라고도 하고, 용이 물을 품고 있는 형국의 지세이기 때문에 영수라고도 한다. 현재 90호가 있으며, 논농사를 위주로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23일에 경상북도 구미시(선산군) 옥성면 농소리 용시에서 채집한 그릇 깬 며느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월이가 참여하였다. 며느리가 은잔 하나를 깨었다고 물어내라 하는 것을 견딜 수 없어서 떠나는 며느리의 이야기다. 대개는 화해하고 잘 지내는 것으로 전개되나 여기서는 뿌리치고 떠나는 걸로 돼 있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밭을 매거나 놀 때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시접온 지 사알만에 가사 구경 하려다가
아랫도장 내려가서 은잔 하나 만치다가 그 은잔 깨뜨렸네 덕석겉은 시아바씨 대마루청에 걸어 앉아 아래 왔는 저 미늘아1) 너거 집에 가거들랑 은잔 하나 물아다고 기초겉은 시어머씨 방문 왈칵 열어 닥쳐 아래 왔는 저 미늘아 너거 집에 가거들랑 소매 말매2) 다 파나마 은잔 하나 물아내라 앵두겉은 저 시누씨 청에 동동3) 다니면서 아래 왔는 저 각씨야 너그 집에 가거들랑 소매 말매 다 파나마 은잔 하나 물어내라 맏동시는 이리 가며 흥글흥글 저리 가며 흥글흥글 이거를 본 저 새댁이 자기 방으로 들어가서 돗재리를 피어 놓고 밍지도4) 몰리 피어 시아부지도 여개 앉으시오 시어머님도 여개 앉으시오 맏동시도 여개 앉아 이 내 말을 들어 보소 앞뜰에라 긴장 밭에 등치겉은 당신 아들 나 하고 사거를 들을 직에 새옷을 갈아 입고 팔폭치알 둘러치고 나무 접시 뒤빌 적에 은잔 하나 대단튼가 잘 가시오 잘 있어오 옹소 잡아 작빌할5) 때 은잔 하나 대단튼가 밤중 새별 높이 떠서 쥐도 새도 모를 적에 옹칸 몸을 헐었더니 옹칸 몸만 채아 주마 은잔 하나 물어줌세 (“그래 인제 시아바이가 ”) 가덜마라 남이 안다 호부로다6) 호부로다 앞동산에 낭클 비어 뒷동산에 산칸 불땅 지어주마 가지 말고 기다리라 저 부인 거동 보소 단발 여승 머리 깎고 팔폭장삼 둘러 입고 백발 염줄 목에 걸고 구절양절 손에 들고 짚신 감발 졸라매고 일만 이천봉 삼만 구 암자 유접사7) 법당으로 돌아든 저 과부야 1) 미늘아 : 며늘아. 2) 소매 말매 : 소며 말이며. 3) 청에 : 대청에 . 4) 밍지 : 명주(明紬). 5) 작빌 : 작별. 6) 호부 : 좋은 며느리(好婦)? 7) 유접사 : 유점사(楡占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