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배젓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운수노동요 > 수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선산군 고아면 예강리 강정의 강배젓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용술, 김선동 |
---|---|
실연방법 | 메기고받는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임용술, 후창/김선동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 예강리 강정은 낙동강가의 마을이다. 다리가 놓이기 전에는 나루터가 있어서 뱃소리가 발달하였다. 이 마을의 본디 이름은 매정(梅亭)이었다. 뒤에 강정(江亭)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예강으로 또 바뀌었다. 평야지대의 농촌으로, 예강뜰이 넓어서 예전부터 쌀이 많이 나왔다. 이 마을은 84호 250여명이 거주한다. 이씨 배판에 배씨 길터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22일에 경상북도 구미시(선산군) 고아읍(고아면) 예강리 강정에서 채집한 강배젓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용술. 김선동이 참여하였다. 예강 사람들의 전답(田畓)이 낙동강 건너 보천들에 많았다. 강에 물이 많이 불었을 때는 배채(노)를 사용하는 나룻배로 건너갔고, 가물어 물이 적을 때는 찌매(삿대?)를 사용하는 나룻배로 건너갔다고 한다. 이 곡은 배채를 이용해 건널 때 부르는 뱃노래이다. 경북민요 취재팀은 낙동강을 따라 이런 류의 노래를 찾으려고 노력했는데 경상북도에서는 유일하게 이 곳에서 채록할 수 있었다. 강정나루에서 뱃일 경험이 있는 가창자들이 옛 기억을 살려서 역동적으로 불렀다. |
가사 | 이여
이여차 이여 이여차 이여차 이여 이카다가 이여차 잘못하면 이여차 부산간다 이여차 이여차 이여차 이허 이허 이허 이여차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여차 이여차 이허 이허 심을 써서 이여차 땡기게 이여차 이여차 이여 목이 말라 이여차 못하겠네 이여차 이여차 이여차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여차 이여차 이여차 이여차 이허 이허 이카다가 이여차 잘못하면 이여차 애간간다1) 이여차 이여차 이여차 심을 써서 이여차 땡기게 이여차 이허 이여차 목 마르거든 이허 술을 먹고 이허 심을 써서 이허 땡기게 이허 이여차 이허 이허 이여차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이허 1) 애간 : 왜관. 지명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