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사령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군위군 고로면 장곡리 개머리의 나무꾼신세타령-어사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보우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황보우출 |
지역개관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장곡리 개머리는 군위군에서도 오지인 산중에 위치한 마을이다. 개머리라고도 한다. 마을 앞산이 개머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마을은 중산간 마을이다. 예전에는 60여호 가까이됐었으나, 현재는 24호이다. 아산 장씨가 많이 살았으나, 현재는 각성이다. 마을에 당나무가 있으며, 지금도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월 27일에 경상북도 군위군 삼국유사면(고로면) 장곡리 개머리에서 채집한 어사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보우출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어사용의 전형적 곡조이다. 사설은 봉덕이 찾는유형인데, 이는 예전에 앵금쟁이들이 해금을 켜면서 부르던 노래라고 한다. 노인들에 의하면 앵금쟁이노래는 중년에 생겨났다고 말한다. 후처로 시집 간 여인이 의붓딸을 잃고 찾아 나섰다는 이 노래 내용은 경상북도에 널리 퍼져 있는데, 함경도 지방에서는 봉샘이라는 이름으로 달리 불린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어사령이라고 하며, 목소리를 길게 빼고 잘 넘겨야 좋은 소리라고 한다. 15세 무렵에 박영감(그 당시 50세 이상으로 추정되며,취금(초금,풀피리)도 잘 불었다고 함)에게 듣고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열아홉살 먹은 과부가 스물아홉살 먹은 딸을 잃고, 이종사촌의 속임수에 빠져 강원도 금강산에 딸 찾으러 가는 길이라”
에이 강원도 금강산 일만이천봉 팔만구암자로 곳곳이 다니면서 내 딸 봉덕이 찾을라꼬 몇 달 며칠을 다녀가면 딸아 딸아 내 딸아 이 내 딸 봉덕이 화초밭에 잠을 자나 이 내 딸 봉덕이 딸아 딸아 내 딸아 어드로 가꼬 내 딸아 금강산 곳곳마다 다니다가 길을 잃고 히매도다 딸아 딸아 내 딸아 어드로 가꼬 내 딸아 원수로다 원수로다 이종사촌 원수로다 이종사촌 꾀임수에 몇 달 몇 일 찾었건만 오늘까지 몬찾인 딸 딸아 딸아 내 딸아 어드로 가꼬 내 딸아 딸아 딸아 내 딸아 어드로 가꼬 내 딸아 요내 딸 봉덕이 화초밭에 잠을 자나 이내 딸 봉덕이 에이 딸아 딸아 내 딸아 이내 딸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