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기와밟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군위군 의흥면 읍내1리의 월워리청청노래-기와밟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복순, 김순덕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김복순, 나/김순덕 외 |
지역개관 | 군위군 의흥면 읍내1리 마을은 예전에 권번이 있었다. 권번이 경주로 옮겨가면서 마을의 규모가 작아졌다. 이 마을의 역사는 약 300여년이 되었다. 마을에는 향교가 있기도 하다. 논농사가 위주이다. 마을 할머니들은 대부분 활달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월 26일에 경상북도 군위군 의흥면 읍내1리에서 채집한 기와밟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복순, 김순덕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일명 다리밟기라고도 하며 놋다리밟기와 유사하다. 여자들이 한줄로 앞사람의 허리춤을 양팔로 껴안고 땅에 무릎을 꿇고 엎드린다. 그 중에서 3명이 선발되어 한사람은 재애를 밟고 두 사람은 재애를 밟는 사람을 보조하여 엎드린 사람의 등과 어깨를 밟고 앞으로 나아가 땅에 엎드려 계속해서 재애를 밟게 다리를 놓아주며 부르는 노래이다. |
가사 | 가 : 이 지해1) 누 지해고
나 : 나라임이 옥지핼세 가 : 어데서 손이2) 왔노 나 : 경상북도 손이 왔네 가 : 무신 버선 신고 왔노 나 : 삼신버선3) 신고 왔네 가 : 무신 옷을 입고 왔노 나 : 물명지옷을 입고 왔네 가 : 무신 맹근을 씌고 왔노 나 : 꾀꼬리 맹근4) 씌고 왔네 가 : 무신 단출 매고 왔노 나 : 호박 풍전 매고 왔네 가 : 무신 동곳5) 꽂고 왔노 나 : 은동구 꼬틀 꼽고 왔네 가 : 무신 풍전 달고 왔노 나 : 호박 풍전 달고 왔네 가 : 무신 갓을 씨고 왔노 나 : 통양갓을 씌고 왔네 가 : 무신 말로 타고 왔노 나 : 천리말을 타고 왔네 <꼬개소리> 꼬깨야 꼬깨야 너도 나도 꼬개야 꼬깨야 꼬깨야 너도 나도 꼬개야 정길옥사 들거래 꼬깨야 꼬깨야 니도 나도 꼬개야 꼬깨야 꼬깨야 니도 나도 꼬깨야 꼬깨야 꼬깨야 니도 나도 꼬깨야 정길옥사들거래 1) 지해 : 기와. 2) 손 : 손님. 3) 삼신버선 : 삼승(三升)버선. 4) 맹근 : 망건. 5) 동곳 : 상투를 틀고 꼽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