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릉군 농소면 월곡리 못골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정배, 성금룡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정배, 나/성금룡 |
지역개관 | 경상북도 금릉군 농소면 월곡리 못골은 예전에 큰 못이 있어서 못골이라고 한다. 안못골에 27호, 바깥못골에 18호가 있다. 못골에는 굉장히 큰 정자나무가 있는데, 이곳에서 해마다 동제를 지낸다. 정자나무의 수령은 약 300여년 정도가 되었다. 이 정자나무의 상태로 한 해의 풍흉을 점친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14일에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 농소면 월곡리 못골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성금룡, 김정배가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여자들이 모심기를 하였다. 아무나 돌아가면서 선창을 하면 나머지가 제창으로 받는 방식이었다. |
가사 | 가 : 징기야 맹기1) 넓은 들에 쟁피2) 훑는 조 마누라
나 : 날 마다고 가더이마는 쟁피자루 못민허네 가 : 서울이라 낭기없어 금봉채로3) 다리놓네 나 : 그 다리를 건널라니 쿵쿵소리 절로 나네 가 : 질로야 꽃을 따지를 말고 임의 버선 잠볼걸어 나 : 임을 보고 버선 보니 임줄 정이 다시 없네 가 : 서울 갔던 저 선비야 우리 선비 안 오던가 나 : 오기야 오데 오데만은4) 칠성판에 실리 오데 1) 징계야 맹계 : 김제 만경. 2) 쟁피 : 잔피. 3) 금봉채(金鳳釵) : 금으로 봉황을 새겨 만든 비녀. 4) 오기야 오데 오데만은 : 왔기야 왔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