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길쌈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릉군 농소면 월곡리 못골의 길쌈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분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분님 |
지역개관 | 경상북도 금릉군 농소면 월곡리 못골은 예전에 큰 못이 있어서 못골이라고 한다. 안못골에 27호, 바깥못골에 18호가 있다. 못골에는 굉장히 큰 정자나무가 있는데, 이곳에서 해마다 동제를 지낸다. 정자나무의 수령은 약 300여년 정도가 되었다. 이 정자나무의 상태로 한 해의 풍흉을 점친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14일에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 농소면 월곡리 못골에서 채집한 길쌈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분님이 참여하였다. 밭을 갈아 목화 농사를 지어 베를 짜서 낭군님 옷을 놓고 기다렸더니 낭군이 죽었더라는 애절한 사연을 담고 있다. 물레질 동작과는 관계없는 서사민요다. |
가사 | 알쑹달쑹 금송아치
저 건네라 비알밭에 하루 아침에 갈아가주 두둑마덩 명씨 넣고 새마동 참깨여코 그 명 간지 딸반만에 밭을 논을 간께수로 나풀나풀 나였구나 밭 둘러본지 사흘만에 씨호맬랑1) 손에 들고 밍주수건 목에 걸고 깜둥까치2) 딸딸 걸고 시대삿갓 숙이쓰고 한골 매고 두골 매고 삼시골을 거듭 매고 밭맨뒤라 한달만에 밭뚤우를 간께스러 옹실봉실 피었구나 싸리나무 대리끼다 한주먹석 따 모다서 하루 낮이 말라가주 참나무 쌔기다가3) 오독뽀독 아사가주4) 대나무 활에다가 닥나무 줄에다가 오동통통 피아가주 구름겉이 피어가주 대나무 막대다가 싹싹 말아 내여놓고 니살물리 잣아내서 한개올로 뽑아가주 열개울로 날아가주 소나무 비틀에다 소나무 가래싹아 소나무 용두머리 소나무 솔에다가 어리설설 빗기내라5) 참나무 바디다가 오동나무 바드질에 얼컹절컹 비를 짜서 앞내물에 씻꺼다가 뒷내물에 힝거다가 서울 가신 진주님을 진주도포 지어가주 갤라카니 손때 묻고 말라카니 말때 뭍고 줄에거니 줄때 걸고 앞집에 선보들아 우리 선보 안오는가 오기야 오데마는 칠성판에 실리 오데 아이구 답답 나 일이야 비네 빼서 담에 꼽고 댕기 끌러 낭케 걸고 호롱에 지름 쳐서 니모반뜻 자는 방에 양단이불 깔아놓고 반달겉은 오강얼랑 머리 끝에 내여두고 잘라카니 잠이 오나 앉았으니 임이 오나 저 지름 달른 소리6) 요내 간장 같이 따소 소이 졌네 소이 졌네 비개머리가 소이 졌네 그걸싸나 소이 라고 기우 한쌍 오리 한쌍 쌍쌍이가 떠돌으네 1) 씨호매 : 밭매는 호미? 2) 깜둥까치 : 까만 갗신(가죽신)?. 3) 새기다가 : 씨아에다가 4) 앗아가주 : (씨를) 빼내어서 5) 빗기내라 : 빗겨내려. 6) 지름 달른 소리 : 기름이 달아 끓는 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