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과부신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릉군 감문면 송북리 송문의 과부신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영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영자 |
지역개관 | 경상북도 금릉군 감문면 송북리 송문은 조선 선조때 시인 배경원이 피란 생활 중 마을을 개척하였다 하며, 마을 뒤 백운산 소나무 숲의 풍경이 아름다워 송문(松門)으로 불리게 되었다. 중산간 마을이며, 각성바지로 38호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15일에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 감문면 송북리 송문에서 채집한 과부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영자가 참여하였다. 어사용가락의 신세타령이다. 가창자는 마흔하나에 홀로 되어 외로움을 달래느라 신세타령을 자주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지리 지리 지리산에 가옥 까옥 가마귀야
우리 낭군 다려다가 어느 산천에 전쟁하고1) 수 십년이 지나가도 소식이 돈절하네 고대광실 높은 집에 만장같이 넓은 방에 홀로 앉아 생각하니 쓸쓸하고 가이 없다 동지 섣달 긴긴 밤에 누었으니 잠이 오나 앉았으니 임이 오나 임도 잠도 아니 오고 에이 할 일 없이 밤새웠네 1) 전쟁하고 : 장사 지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