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문경군 산양면 신전리 섶밭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시해, 고시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고시해, 후창/고시길 외 |
지역개관 | 문경군 산양면 신전리 섶밭 마을은 속칭이 섶밭이다. 마을 개척당시 숲이 우거진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평야지대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이다. 개성 고씨가 모여 사는 집성촌으로, 150여호 450여명 정도가 산다. 약 400년 이상의 내력을 지닌 마을이다. 정월 대보름에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8일에 경상북도 문경시(문경군) 산양면 신전리 섶밭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시해, 고시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사설도 풍부하고 감칠 맛나게 잘 부른 노래이다. 아 마을 분들은 동족부락이어서 단합심도 강하다. 이 노래는 두벌논매기 소리이다. 손으로 동작을 하면서 불렀다. 노래 사이사이 쉬는 부분이 있는데, 이 때는 소리를 쉬고 논만 맨다. 이 마을에서는 초벌 맬 때는 힘들어 소리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
가사 | <긴소리>
(“자 . 쪽 서라, 힌칸 띄우지 말고 골고루 사람 뫼이오 ”) 얼러뚜구야 이후후후 이후후후 에헤 에호 오이 이히야 아하아 아하오 에헤 에헤 오이 이히야 아하아 아오 에헤이여 아약1) 노약은2) 다 빼놓고 일등군자만 골라 섰구나 아 하오 에헤 에호 오이 이히야 아하아 아오 에헤이여 일등군장 골라서서 요만한 일 못할손가 아 하오 에헤 에호 오이 이히야 아하아 아오 에 헤이여 (이후후후 ) 배 고프면 밥을 주고 목 마르면 물을 주는데 무신 말이 그렇기 많단 말인고 아 하오 에헤 에호 오이 이히야 아하아 아오 (아구 숨 찬다 ) <상사소리> 에헤 헤에이 아헤이요호오 상사디여 에헤 헤에 아헤이요호오 상사디여 디여 허이 징개 명개3) 치바지뜰에 쟁피 훑는 저 여자야 날 마다고 떠나더니 쟁피떠래기4) 못민하는구나 아하 상사로구나 에헤 헤에 아헤이요호오 상사디여 디여 허이 목이 말라 못하겠고 배가 고파서 못하겠노라 여러분들 들어보소 둥어리는 찌는듯 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구나 아하 상사로구냉 에헤 헤에 아헤이요호오 상사디여 <방아소리> 에헤에 방호오 에헤에 방호오 이 방하를 걸어 놀 때 에헤에 방호오 어느 누가가 미왔는고5) 에헤에 방호오 강태공에 조작방아 에헤에 방호오 이 방아를 찧어다가 에헤에 방호오 조상님전에 제를 올려 에헤에 방호오 자손만대를 부아주고 에헤에 방호오 소원성취를 바라나이다 에헤에 방호오 시도 늦고 지루한데 에헤에 방호오 잠시 잠깐 쉬어보세 에헤에 방호오 <에이용 소리> 에이용 헤야 에이용 헤야 에이용 소리가 나거들랑 에이용 헤야 삼시마디 마치고 보세 에이용 헤야 에이용 이후후후 1) 아약(兒弱) : 아직 덜 자란 아이들. 2) 노약(老弱) : 늙은이와 약한이. 3) 징개 명개 : 김제 만경. 4) 쟁피떠래기 : 잔피를 담는 싸리 광주리. 5) 미왔는고 : 만들었는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