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칭칭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문경군 산양면 신전리 섶밭의 논매고오는소리-칭칭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시해, 고시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고시해, 후창/고시길 외 |
지역개관 | 문경군 산양면 신전리 섶밭 마을은 속칭이 섶밭이다. 마을 개척당시 숲이 우거진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평야지대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이다. 개성 고씨가 모여 사는 집성촌으로, 150여호 450여명 정도가 산다. 약 400년 이상의 내력을 지닌 마을이다. 정월 대보름에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8일에 경상북도 문경시(문경군) 산양면 신전리 섶밭에서 채집한 칭칭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시해, 고시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기를 마쳤을 때나 참을 먹으러 나올 때 칭칭이 소리를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자 모도 이제 참 먹으로 들어가세 ”)
치기나 칭칭나네 치기나 칭칭나네 가세 가세 참 먹으로 가세 치기나 칭칭나네 우리야 농부들 들어나 보소 치기나 칭칭나네 우리야 이렇게 살며는야 치기나 칭칭나네 및 백년이나 살고나 보나 치기나 칭칭나네 하늘이라 쳐다야 보니 치기나 칭칭나네 달 가운데 계수나무 치기나 칭칭나네 옥도끼로 찍어내여 치기나 칭칭나네 금도끼로 다듬어서 치기나 칭칭나네 모왔도다 모왔도다 치기나 칭칭나네 비틀1) 한쌍을 모왔도다 치기나 칭칭나네 요만하고 마치나 보세 치기나 칭칭나네 치기나 칭칭나네 치기나 칭칭나네 1) 비틀 : 베틀. |